부산진성6(성곽 축성방법에 관하여) 진성(鎭城)

저번에 조선후기 부산진성의 성벽 축성방식이 왜성과 같은 기울기로 되어 보인다고 했는데 그러면서 고성의 소을비포성에서 본 기울기를 이야기 하였습니다. 아래 사진은 1910년 경 부산진성의 모습입니다.
▼ 성벽의 기울기가 우리나라의 성곽과 달리 기울여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사진을 클릭하시면 큰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 복원된 고성소을비포진성의 모습입니다.
▼ 복원된 북문지의 성벽의 모습으로 계단식으로 된 성벽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예전 부산진성 성곽축성에 관련된 글 보기 
▼ 그런데 동아문화재연구원에서 고성 소을비포진성의 발굴현장의 사진을 보니까 위 고성 소을비포진성의 성곽 축성방식과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습니다. 지금 복원된 소을비포진성의 성곽 기울기와 발굴당시의 사진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성 소을비포진성의 성곽 기울기는 조선초기때 축성한 성곽의 방식과 비슷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니 위 부산진성의 성곽 기울기에 관련되어 의문이 남게 됩니다. 아직 그부분에 관련되어서 자료가 없어서 단정하기는 힘이 듭니다.
▼ 울산 후기 서생포진성의 모습으로 임진왜란 당시 왜군들이 축성한 서생포왜성의 모습으로 임진왜란이 끝나고 그 자리에 서생포진성으로 활용을 하였습니다. 부산진성과 달리 서생포진성의 경우 왜성을 그대로 사용한 케이스입니다.
▼ 서생포왜성은 임진왜란 당시 얼마사용하지 않았던 것에 비행 서생포진성의 경우 300여년 이상 사용하였습니다.
▼ 현재에 남아있는 서생포왜성의 모습으로 현재 남아있는 곳은 서생포왜성의 일부이고 서생포진성에서 사용한 동헌과 객사의 경우 지도에 표시한 지역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왜성의 성곽추정도를 가지고 서생포지역에 대비시킨 것으로 정확한 것은 아니고 비슷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남문과 북문의 경우 조금은 틀릴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따라서 서생포왜성의 성곽 자체를 그대로 사용하고 객사와 동헌 등 각종 관아건물만 서생포왜성자리에 건립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서생포왜성에 사용된 성곽의 축성방식은 왜성의 방법과 틀리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성곽의 기울기는 왜성의 방식입니다. 서생포진성의 방식은 왜성의 기울기와 같다면 부산진성의 성곽의 기울기는 어떤 방식이었을까요? 부산진성4편에서 부산진성의 성곽 기울기는 왜성의 방식이 아닌가 조심스럽게 추측을 하였습니다.

부산진성의 경우 성곽의 기울기 부분은 축성부분을 연구하는데 상당부분 중요한 것이라 생각을 합니다. 만약에 조선후기 부산진성의 경우 왜성과 같이 성곽 기울기를 선택하였다면 성곽 연구에 있어서 중요하리라 생각합니다.

전편에서는 고성 소을비포진성에서 계단식 쌓기 방식으로 해서 성곽의 기울기가 부산진성의 성곽과 비슷하게 기울여졌다라고 이야기 하였지만 발굴 당시의 사진으로 봐서는 현재 복원된 고성 소을비포진성과 다릅니다. 또 왜성을 그대로 사용한 서생포진성이 있으며 부산진성의 경우 마찬가지로 자성대왜성을 그대로 사용한 것입니다.  




핑백

  • 팬저의 국방여행 : 함경도 경성읍성 2009-08-20 18:14:46 #

    ... 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부산진성의 서문과 경성읍성의 남문은 상당부분 비슷함을 알 수 있습니다. 부산진성 1편부산진성 2편부산진성 3편부산진성 4편부산진성 5편부산진성 6편부산진성과 경성읍성의 성벽기울기 비교를 해봅니다. 비교는 포토샵에서 했기때문에 정확하지 않습니다. 실측을 하지 않았고 현재 실측을 할 수 없기때문입니다.( ... more

  • 팬저의 국방여행 : 조선 후기 부산진성으로 사용했던 성벽 발견 2009-10-05 13:54:59 #

    ... 기제가 10월 1일 이전에 부산진성에가서 그 내용을 올렸는데요. 신문에서도 비슷하게 기사 내용이 실려있네요. 부산진성1편부산진성2편부산진성3편부산진성4편부산진성5편부산진성6편부산진성7편부산진성8편부산진성9편결론을 내리자면 조선후기 부산진성의 경우 울산 서생포진성과 같이 임진왜란때 축성한 왜성을 기초로 성문을 달아서 사용했던 것으 ... more

  • 팬저의 국방여행 : 일제강점기 자성대왜성 및 조선후기 부산진성 2010-07-28 12:07:01 #

    ... 부산진성과 자성대왜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보입니다.부산진성의 포스팅 1편 보기부산진성 2편보기부산진성 3편보기부산진성 4편보기부산진성 5편보기부산진성 6편보기부산진성 7편보기부산진성 8편보기부산진성 9편보기부산진성 10편보기아래 사진의 경우 자성대왜성을 찍은 사진인데 부산진성안 관아의 건물과 민가들의 모습이 ... more

덧글

  • 유진우 2009/08/17 16:54 # 삭제

    오스프리 퍼블리싱에서 발행한 조선의 왜성 1592~98에 서생포 왜성 추정도가 일러스트로 그려져 있는데 아주 잘 고증되어 있더군요
    산노마루는 마을이 되면서 파괴가 심한 것 같습니다.
    정상부의 혼마루( 本城 )가 그나마 잘 남아있는 것 같네요
    혼마루에 가까워지면서 구획도 복잡해지고 방어정면이 축소되는 전형적인 일본 평산성의 특징을 잘보여주는 것이 서생포 왜성입니다.
  • 팬저 2009/08/17 18:58 #

    서생포왜성의 경우 현재 남아있는 부분은 얼마되지 않지만 많은 관광객들이 오고 있죠. 서생포왜성에 파묻혀 버린것이 서생포진성 같습니다.
  • 졸라맨K 2009/08/18 01:01 #

    성벽에 기울기를 주는 방식은 들여쌓기라고 하는데 삼국시대 성곽에서도 발견됩니다. 굳이 임란시기 왜성에서 배껴왔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외국에서도 들여쌓기를 이용하는 예가 워낙에 많아서요;
  • 팬저 2009/08/18 10:14 #

    성벽의 들여쌓기 방식도 의문이 들지만 조선후기 부산진성의 경우 성곽의 배치도 기존 우리나라 성곽에서 보지 못한 것 같아서 적어봅니다.
  • 번동아제 2009/08/18 18:54 #

    우리나라 삼국시대 성벽은 들여쌓기를 했다고해도 기울기의 형태로 봐서 대부분 단경사 내지 복경사, 유단경사 방식이어서 일본식 석축성 성벽에 나타나는 요고형 혹은 규형의 곡선형 성벽과는 그 본질이 다릅니다.

    실록을 보면 임진왜란 직후인 1600년 선조의 주도로 함경도 지역의 성곽을 왜성식으로 개축하라는 명령이 하달된 사례가 있습니다. 실물 성곽을 봐도 당시 개축된 함북 경성성 성벽이 이른바 요고형 내지 규형이며, 같은 1600년대에 개축된 남한산성의 경우에도 일부 지구 성벽(특히 일부 치성 성벽)에 요고형 내지 규형이 나타납니다.

    우리 학계에서는 적극적으로 이런 측면을 부각시키지 않고 있지만 太田秀春 같은 일본 학자들은 17세기(1600년대) 전반에 조선이 일본식 성곽(왜성)제도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려 했다고 주장하고 있지요.

    부산진성 성벽의 경우 사진이 뚜렷하지는 않지만 단경사나 복경사류의 성벽이라기보다는 요고형 내지 규형의 분위기가 물씬 풍기네요. 말씀처럼 한번 진지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는것 같습니다.



  • 팬저 2009/08/18 19:26 #

    아직 정확한 자료가 없어서 정확하게 알수가 없지만 문화재연구원에서 조사를 한다면 더 정확하게 알 수 있겠죠. ^^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