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부산진성으로 사용했던 성벽 발견 성곽 관련 뉴스

부산일보에 조선후기 부산진성에서 사용된 성벽발견 기사가 있어서 올립니다.
 기사보기

제가 10월 1일 이전에 부산진성에가서 그 내용을 올렸는데요. 신문에서도 비슷하게 기사 내용이 실려있네요.

부산진성1편
부산진성2편
부산진성3편
부산진성4편
부산진성5편
부산진성6편
부산진성7편
부산진성8편
부산진성9편

결론을 내리자면 조선후기 부산진성의 경우 울산 서생포진성과 같이 임진왜란때 축성한 왜성을 기초로 성문을 달아서 사용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핑백

  • 팬저의 국방여행 : 일제강점기 자성대왜성 및 조선후기 부산진성 2010-07-28 12:07:01 #

    ... 그런지는 몰라도 천수각의 경우 왜성특유의 모습이 보이고 3지환의 경우 2009년 발견된 부산진성의 성곽과 같은 기울기입니다. 부산진성 성벽발견 뉴스기사필자의 부산진성 왜성흔적 발견 포스팅3지환의 경우 높이가 5미터 정도 되어보이네요. 이 사진으로 봐서 대략 1905년 전 후인 것 같습니다. 이 사진을 찍은 위치로 봐서는 부산진성 ... more

덧글

  • 유진우 2009/10/06 08:54 # 삭제

    이제 저 엉터리 성벽을 헐어버리고 부산진성을 고증에 맞춰 다시금 복원하는 안을 검토해야겠지만 시기상조이니 일단 저 성벽이라도 잘 보존하기를 기대해야겠습니다.

    이 기회에 지표조사부터 실시하면 더 좋겠지만요
  • 팬저 2009/10/06 09:55 #

    저는 고증에 맞지않게 복원한 것 보다 이번 발굴조사가 부산진성 발굴조사는 처음이라고 하더군요. 그러면 1974년 부산진지성의 새롭게 축성할때와 영가대 복원의 경우 한번도 조사를 하지 않았다는 것에 더 충격을 받더군요. 아무튼 부산진성 성곽터의 경우 새롭게 건물을 지을 경우 꼭 발굴조사를 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