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진성 10(조선후기 부산진성은 왜성에 조선식의 城을 이용하였다) 진성(鎭城)

부산진성 10번째 편으로 이제 부산진성에 관하여 마무리할 때가 된 것 같습니다. 1편에서도 이야기한 내용을 정리함과 동시에 결론을 도출하려고 합니다. 부산진성의 경우 조선초기에 축성한 부산진성과 임진왜란 발발후 왜군이 조성한 왜성 그리고 임진왜란이 끝나고나서 부분개축한 부산진성,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사라진 부산진성을 1974년 축성한 현재의 부산진지성으로 크게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래에 도표로 표시를 하여 놓았습니다. 
▼ 1910년 지적원도에 현재의 부산시가지를 대비시켜 보았습니다. 부산진성의 경우 1편에서도 이야기한 것과 같이 기존의 조선의 진성과 달리 각이 진형태의 성곽 평면도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임진왜란때 일본군이 부산진성을 없애버리고 자신들에게 맞게 축성한 왜성의 구조일 것으로 추측합니다. 파란색선과 노란색선 그리고 빨강색으로 된 선이 있는데 이는 성곽이며 3중 구조로 된 성곽임을 알 수 있습니다. 지적원도의 경우 우리문화재연구원에서 올린 원도를 기준으로 다음지도에 다시 작성한 것입니다. 
▼ 동래부사접왜사도 병풍중 한장면으로 동래부사가 왜관으로 가는 행차모습인데 그중 하나에 부산진성의 모습이 보입니다. 부산진성의 4대문이 다 보이고 영가대의 모습, 동헌 및 객사등의 각종 관아의 모습이 자세히 그려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부산진성 서문으로 사람이 출입하는 것이 보이고 영가대의 경우 부산진성에서 이어진 성곽이 영가대까지 이어져 있음을 알 수 있네요. 또 서문과 남문을 지나면 현재 부산진지성에 있는 서문 위치에 또하나의 성문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 성에서 자주 볼 수 있지는 않습니다. (물론 전혀 없는 것은 아니죠.) 부산진성안에 있는 각종 관아들은 조선시대때 사용한 관아건물로 우리들 눈에 익숙한 건물입니다.
▼ 부산진성과 왜관의 모습으로 부산진성의 경우 왜성의 장점을 이용한 성곽이었다는 것을 증명해줄 古그림으로 평면도의 부산진성으로 왜성방식으로 된 성곽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부산진성옆의 영가대가 보이고 다만 위 고지도와 달리 부산진성의 경우 2중 3중으로 된 성곽임을 알 수 있는 소중한 고지도로 보입니다.  위의 동래부사접왜사도의 경우 2중으로 된 성곽이었다면 아래 그림(조선통신사도)를 보면 3중 성곽임을 알 수 있습니다. 부산진성의 경우 면적으로 봐서 크지 않은 것인데 거기에 3중으로 성곽을 조성한 것은 왜성의 장점을 이용한 것임을 알 수 있고 성곽의 평면도 또한 왜성의 방식임을 부정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아도 부산진성의 경우 왜성과 같은 구조임을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 임진왜란이 끝난 후 부산진성은 왜성을 그대로 사용하였는데 그러면 우리가 알고 있는 우리나라 성곽에 있는 치성과 각루, 포루가 지적원도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만약 우리나라의 성곽의 방식이었다면 아래 그림에 표시된 노란색으로 된 원의 위치에 치성이 들어서야 하는데 지적원도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이는 왜성의 방식을 그대로 사용했다는 증거입니다. 
▼ 동문 진동문의 위치와 1974년에 복원한 건축문이 있는 곳으로 치성이 있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1905년 부산진성의 모습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우리나라의 읍성이나 산성,진성과 별차이가 없어보입니다. 다만 성곽의 기울기를 보면 우리나라 성곽에서 볼 수 없는 기울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서문 금루관옆에 치성이 있어야 하는데 치성이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보는 방식이었다면 치성이 있어야 하는데 보이지 않는다.
▼ 만약에 치성이 있었다면 녹색으로 표시된 곳에 있어야 되겠죠. 빨간색으로 된 것은 성곽이 지나가는 곳인데 조금은 특이하게 보입니다.
▼ 북한지역의 경성읍성의 성벽으로 기울기로 봐서는 왜성과 비슷한 부분이 있습니다. 사진 좌측을 보면 치성이 보이는데 경성읍성과 같이 부산진성의 경우도 저런식의 치성이 있어야 하는데 보이지를 않습니다. 경성읍성의 경우 왜성과 같이 성곽의 기울기는 비슷해도 우리나라 읍성과 같아 보입니다.   
1905년 부산진성 남문의 모습으로 바다와 인접하게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성문과 누각을 보면 우리나라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방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작성할 때 인터넷에서 검색하면서 발견한 것인데 이후 eastsong님이 부산진성의 모습이 아니라고 정정을 요구하였습니다. 그후 잠시 잊고 지내고 있었는데 eastsong님이 강화도에 있는 것이라고 해서 검색을 해보니 부산진성의 모습이 아니라 강화도의 진해루의 모습이네요. 이내용을 알려주신 eastsong님에게 감사드립니다. 따라서 부산진성이라고 글 작성한 것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혼란을 주었던 필자의 무지를 용서해주시기 바랍니다.
▼ 부산진성 서문인 금루관의 모습으로 역시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방식의 누각과 성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조선후기 부산진성의 경우 임진왜란후 일본군이 물러가고 나서 조선군이 사용하면서 성문,누각,객사,동헌 등 각종 관아건물은 조선식으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왜성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조선식으로 부분 개조 했다는 이야기입니다.  
부산진성 10편으로 부산진성에 관한 이야기는 끝을 내고자 합니다. 다만 새로운 내용과 사실이 있으면 다시 한번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핑백

  • 팬저의 국방여행 : 일제강점기 자성대왜성 및 조선후기 부산진성 2010-07-28 12:07:01 #

    ... 성의 포스팅 1편 보기부산진성 2편보기부산진성 3편보기부산진성 4편보기부산진성 5편보기부산진성 6편보기부산진성 7편보기부산진성 8편보기부산진성 9편보기부산진성 10편보기아래 사진의 경우 자성대왜성을 찍은 사진인데 부산진성안 관아의 건물과 민가들의 모습이 같이 보입니다. 이 사진을 보면 만공대의 모습은 보이지 않습니다. ... more

  • 팬저의 국방여행 : 부산진성 인용사진 오류에 관하여 2010-11-08 23:00:13 #

    ... 라고 생각하고 부산진성에 관한 글을 작성할때 인용한 사진입니다.부산진성의 관한 글 중 인용한 부산진성 10(조선후기 부산진성은 왜성에 조선식의 城을 이용하였다) 부산진성3(조선후기 부산진성은 왜성의 장점을 이용한 진성이었다?) 이렇게 인 ... more

  • 팬저의 국방여행 : 뒤늦게 토탈워 카페 멀티님 왜성관련 논쟁을 보면서 2011-09-15 10:35:02 #

    ... 금 변형하여 부산진성으로) 4. 왜성의 체성 기울기인 경사진 부분을 도입 5. 조총의 활용 등 많은 변화를 보여줍니다. 부산진성의 발제글 보기 끝으로 본 아무 영양가 없는 블로그를 자주 방문해주시는 헤르모드님, 유진우님, 明智光秀 님, 부산촌놈님, 역사관심님, Warfare Archaeolo ... more

덧글

  • 들꽃향기 2009/10/09 14:30 #

    오호 놀랍군요. 일전에 임용한 선생님 설명을 들으시면서, 당시 조선의 위정자들이 평양성의 경우 왜성의 구조를 이해하지 못해서 그것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했다.라고 말씀을 하시던데.....말씀하신대로 조선 후기의 부산진성이 왜성의 구조를 어느 정도 이용하고 있었다면 상당히 충격입니다. ㄷㄷ
  • 팬저 2009/10/09 22:57 #

    임진왜란때 자성대에 세운 자성대왜성을 일본군이 물러가자 그곳에 조선후기 부산진성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 zert 2009/10/09 19:08 #

    오 멋진 글이군요.

    링크 신고 합니다. 임진왜란에 대해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
  • 팬저 2009/10/09 22:58 #

    반갑습니다. 미천한 저도 임진왜란에 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많이 부족하다 보니 남들이 적은 놓은 글을 보고 좋아다니는 형편입니다.
  • 저기 2011/12/18 17:48 # 삭제

    멋진 글입니다. 글쓴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여쭙겠습니다. 태종 3년에 부산진성이 축조되었다는 문장의 원전이 어디에 있는지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제가 알고있는거랑 달라서..
  • 팬저 2011/12/18 22:54 #

    그렇네요.. 저도 1편에 1490년(성종 21년)에 축성했다고 적어놓고 이런 실수를 했네요. http://panzercho.egloos.com/9671961 좋은 지적 감사하고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 중안조 2021/09/14 13:04 #

    감사합니다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