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로 나온 차기수상함구조함(ATS-II : Auxiliary Towing Salvage -II ) 모형을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서 보았습니다. 차기수상함구조함(ATS-II) 의 제원을 보면 전장 107.5m, 전폭 16.8m, 홀수 4.8m이며 승조원은 116명이며 만재 4700톤에 최대속력은 21노트, 감압및 잠수장치, 무인탐사장치를 갖추며 엔진은 6,000마력 *4기를라고 합니다. 속력은 최대속도는 21노트 순항속도는 15노트이며 항속거리는 순항일 경우 5,500nm라고 합니다. 차기수상함구조함은 침몰된 선박 및 수중물체의 인양, 좌초된 선박을 안전한 수역으로 구조, 기동 불능 상태인 함정의 예인, 인명구조 임무 등을 수행하게 된다고 합니다.
▼ 정면에서 본 차기수상함구조함으로 현재 대한민국 해군에 있는 수상함구조함의 경우 평택함(ATS-27)이 있으며 1972년 1월 미해군에서 취역했는데 1996년 3월 퇴역합니다. 이를 다시 대한민국 해군에서 도입한 것이 평택함입니다. 이제 진수된지 40년이 되었네요. 평택함과 함께 사용하는 수상함구조함이 광양함(ATS-28)이 있는데 이 광양함도 1972년 12월에 진수되었으며 1996년 3월에 대한민국 해군으로 국적을 바꿉니다. 이 두척의 수상함 구조함의 경우 함령이 40년이 넘었고 감압챔버도 없는 한계를 느끼고 수상함구조함을 진수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 외형적으로는 잠수함구조함인 청해진함과 비슷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함교 아래에 있는 오렌지색으로 된 공기주머니 때문에 더욱 더 비슷하게 보여지는 것 같습니다. 제작 건조한 회사도 대우조선해양이라 같은 회사입니다.
▼ 20미리로 보이는 기관포가 있습니다. 유일한 방어적 수단입니다.
▼ 함수에 4개의 홈이 있습니다. 좌, 우현 가장자리 홈은 함정 고정용 닻줄(와이어 로프)이 나가는 위치이며 안쪽에 있는 홈 2개는 좌초선 또는 침몰선을 이초, 인양하기 위한 와이어 로프가 나가는 위치이며 와이어 로프는 구난 작업시 갑판상에 설치되는 유압강색인양기(HCP)에 연결된다고 하네요. 차기수상함구조함의 경우 6천 마력의 힘을 가진 4개의 디젤엔진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형함정을 예인 할 수 있고. 또한 감압 및 잠수장치와 무인수중 탐사기(ROV:Remote Operated Vehicle)를 탑재하여 원할한 수중 작업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고 하네요.
▼ 위 사진과 아래 사진을 보면 함수에 닻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잠수함 구조함인 청해진함에도 있는데 4개의 닻을 이용하여 배를 고정시키는 역활을 한다고 합니다. 이를 "4묘박 시스템"이라고 한다고 하는데 이 "4묘박 시스템" 탑재되어 정밀하게 배의 위치를 조종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 함수 아래를 보면 3개의 자그마한 것이 보이는데 제자리에서 방향을 바꿀 수 있는 함수 추진기(Bow Truster)라고 하네요. 청해진함에도 이런식 이더군요.
▼ 이외에도 차기수상함구조함에는 자동함 위치 유지기(DPS : Dynamic Positioning Syatem)라는 것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청해진함에 이 자동함 위치 유지기가 있으니까 아무래도 이 부분은 동일하겠죠. 오렌지색 공기주머니의 경우 정밀묘박을 위한 4점묘박(4 point mooring)을 위한 부이라고 하네요.
▼ 함의 좌우현에는 청해진함과 같은 요철부분이 보이는데 이 요철은 크기가 작은 배와 접안할 때 선체끼리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네요.
▼ 함의 좌우현에는 고속단정(RIB)가 2정 탑재가 됩니다.
▼ 고속단정(RIB)앞에는 LCVP와 비슷하게 생긴 단정인데 잘모르겠네요. WORK BOAT(작업정)이라고 한다고 하네요. 헬기 이착함을 돕는 통제소의 경우 고준봉급 헬기 통제소와 비슷하게 보입니다.
▼ 헬기의 경우 CG와 달리 SH-60 헬기 한척이 올려져 있습니다.
▼ 헬기테크 밑에는 또 하나의 공간이 있는데 크레인이 보입니다.
▼ 크레인의 경우 25톤급 정도 되어 보이는데 아닌가? 아무튼 아시는 분은 알려주세요.
▼ 함미에는 함수와 마찬가지로 2개의 추진기가 보이는데 제자리에서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추진기로 보이는데 이것은 함미 추진기라 불러야 하나요?
▼ 헬기테크와 크레인 사이에 조그마한 크레인이 함의 좌우에 달려져 있습니다. 작은 물품을 실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 함미에서 바라본 차기수상함구조함의 모습으로 함교와 함께 보니 계단식으로 된 함의 구조이네요.
▼ 수상함을 구조하여 예인하기 위한 것 같네요. 예인을 하기 위한 것 들이 보이네요.
▼ 양쪽에 구멍이 나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함의 인양하기 위한 와이어 로프가 나가는 위치일까요?
▼ 수상함구조함의 경우 기존에 있는 평택함과 광양함을 대처하기 위한 수상함구조함으로 보여지는데 저번 천안함사건과 같은 부분을 대처하기 위해서라도 적어도 3척(동,서,남해안) + 1척(예비 및 수리)이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천안함 사건때 잠수함구조함인 청해진함이 진해에서 수리중이라 늦게 참가하게되어 비난을 받은 것을 봐서는 적어도 4척 체제는 가야하지 않나 싶네요.
일단 수상함구조함의 초도함의 경우 2013년 10월에 해군에 인도되어 전력화 된다고 하니 2012년 경에 진수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바램과 같이 4척체제로 갈지 아니면 1척만 건조할 지 지켜봐야 할 것 같네요.



















덧글
의외로 4천톤급 치고는 승조원 수가 많다고는 할 수 없네요. 헬기는 모형에 들어간 SH-60이 더 현
실적인 것 같습니다. CG는 꼭 멀린급 같은데... 그럴 리가... ㅠ.ㅠ
차기수상함구조함을 건조하여 대처하는 것이 마땅하겠죠. 아무래도 그런식으로 운영하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
차기수항함구조함의 경우 2013년 한척이 해군에 인도되어 전력화될 예정입니다. 이후에 전력화 될 것은 언제인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