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포성지가 합포진성으로 사용되어졌을까? 영성(營城)

합포성지에 관한 네이버 백과사전을 보면 "1976년 12월 20일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153호로 지정되었다. 경상우도(慶尙右道) 병영성(兵營城)의 터로, 성은 부원수(副元帥) 배극렴(裵克廉)이 왜구를 막기 위해 고려시대인 1378년(우왕 4) 3개월에 걸쳐 돌로 쌓았다.

1426년(세종 8)에 경상 좌·우도 병영이 합쳐지면서 경상도병영성이 되었다가 1430년에 고쳐 지었다. 1437년 경상좌·우도로 다시 분리된 뒤 1583년(선조 16)에 경상병사(慶尙兵使) 이수일(李守一)이 우도병영을 진주로 옮긴 후로는 합포진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합포는 신라시대의 골포현(骨浦縣)을 경덕왕(景德王)이 개명한 것으로 뒷날 회원ㆍ창원을 거쳐 마산으로 되었다.


성의 규모는 둘레 4,291자[尺], 높이 15자, 너비 10자 7치[寸]였다고 전해지며, 《축성기(築城記)》에 따르면 성 위에 2자 간격으로 여장(女墻:성 위에 낮게 쌓은 담으로, 여기에 몸을 숨기고 적을 쏘거나 침)을 설치하고 여장마다 방패와 창을 하나씩 배치했다고 한다. 또한 동에 원인문(元仁門), 남에 회례문(會禮門), 서에 회의문(會義門), 북에 용지문(勇智門)이 있었으며 성 안에는 의만창(義滿倉)·회영고(會盈庫) 등의 건물이 있었다는 내용도 있다.

조선 전기의 전형적인 축성양식과 중국계 평지(平地) 방형성곽(方形城郭) 형태를 나타내는데, 현재는 북문지 주변에 80m 정도의 성벽과 1개의 치지(雉址) 흔적만 남아 있다. 외벽 하단의 기초석을 밖으로 내고 내벽을 계단 모양으로 위로 좁혀 쌓았다. 돌의 크기는 200×150×80㎝ 정도인 것이 많고 마산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점판암계이다.


북쪽 성벽의 내벽 바깥에 벽의 폭을 줄여 배치한 정면 3칸, 측면 1칸의 목조건물터가 있는데, 일부 훼손되었으나 무문전(無文塼)을 한 번 깔고 좌우 측면과 뒷면에 토담벽을 쌓은 흔적이 남아 있다. 성벽 바깥 10∼20m 떨어진 지점에 U·V자형 구(溝)인 해자(垓字)가 둘러져 있던 것으로 전해진다. " 라고 적혀있습니다.

또 합포성지에 관련된 안내판에 적혀있는 것을 보면 " 기록에 의하면 이 성은 1378년(고려 우왕4)에 왜구의 침략을 막기 위해 이곳에 부임한 배극렴(裵克廉, 1325~1392)이 병사와 주민을 동원하여 쌓은 다음, 경상우도 병마절도사영(慶常右道 兵馬節度使영)으로 사용하였다.

성(石城)의 둘레는 1.3km이고 높이는 4m이며, 성위에는 60cm간격으로 요철(凹凸)의 성가퀴가 설치되었다고 한다. 성에는 4대문이 있었고 성 안에는 의만창(義滿倉)과 회영고(懷盈庫) 등의 건물과 함께 5개의 우물이 있었다. 당시 창검과 기치를 세우고 감시병이 밤낮으로 감시하면서 위용을 과시하였기 때문에 왜적이 감히 넘볼 수가 없었다고 한다. 이 성은 1593년(선조26)에 병영을 진주로 옮기면서 합포진(合浦鎭)의 진성(鎭城)으로만 남게 되었다.


성의 외벽은 아랫부분에 큰 받침돌을 두고 견고하게 쌓아올렸는데, 이런 방식은 조선 전기 남해안의 읍성축조(邑城築造)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성벽은 바탕 돌 위에 다듬은 돌을 수직으로 쌓아 올렸는데, 상단부로 오를수록 돌의 크기가 작아지고 있다. 현재 성벽은 일직선상으로 80m 정도 남아있다.

「동국여지승람」창원도호부 산천조(昌原都護府 山川條)에는 고려 말 원나라의 일본 정벌 전진기지가 합포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같은 책의 고적조(古蹟條)를 보면 그 기지가 이곳에서 서쪽으로 1km 더 떨어진 자산동(玆山洞) 지역에 있다고 되어있다. 따라서 이 성이 여.몽연합군의 일본원정 기지와 관련이 있는 지는 불명확하다.』"고 써놓았습니다.

그동안 알고 있었던 합포성지에 관련된 내용이었습니다. 합포성지에 관한 내용 두개중 이상한 것을 느끼지 못했는지요? 이부분에 관하여 조사하시는 분이 없어서 그런지는 몰라도 계속해서 저 내용이 돌아다니는 것 같습니다. 아래에 나올 내용들은 아마추어의 문제 제기로 봐주었으면 합니다. 보다 자세한 것은 전문가들이 연구조사를 해야겠죠.

첫번째 오류는 경상우도병영성이 진주로 넘어간 시기입니다. 백과사전과 안내판에는 1583년과 1593년에 적혀있는데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1583년의 경우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인데 이부분은 명확한 오류인 것으로 보입니다. 네이버 백과사전에서는 수정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선조 36년(1603) 진주읍성이 요해지로 다시 인식되면서 창원 합포(合浦)에 있던 경상우병영성이 진주성 안으로 옮겨왔다고 합니다. 임진란 당시 복잡한 그 상태에서 경상우병영성이 옮겨 간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으며 임진왜란 후 옮겨가는 것이 맞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부분은 선조실록 등에 남아있으니까 큰 문제는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 

두번째 오류로 보이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은 어디까지 필자의 추정임을 알려드립니다. 위 내용에 나오는 것 중 네이버 백과사전을 보면 "우도병영을 진주로 옮긴 후로는 합포진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라고 적혀있고 합포성지 안내판에도 "이 성은 1593년(선조26)에 병영을 진주로 옮기면서 합포진(合浦鎭)의 진성(鎭城)으로만 남게 되었다. "고 적혀있습니다.  과연 그럴까요?
  
두번째 오류라고 추정되는 부분의 이야기입니다. 무엇보다 위치입니다. 아래에 나올 지도를 보시기 바랍니다. 창원부의 지도로 지승지도에 나오는 부분인데 여기를 보면 창원읍성을 크게 그려 놓았고 왼쪽편에 구 병영이라고 아주 작게 적어 놓았는데 바닷가와 인접하여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바닷가에 있는 선소와 거리가 제법 멀다는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현재의 지도를 대비한 것이고 파랑색으로 된 부분은 1600년 당시 바닷가를 추정한 것입니다. 합포성지 즉 임란 당시 경상우병영성에서 고지도에서 본 선소까지 가려면 직선거리로 4km이고 둘러서 간다고 하면 적어도 5km가 되는 거리입니다. 바닷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수군기지인 진성으로 사용했다고 하는 것은 어딘지 모르게 맞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정도 거리라면 당시의 길과 당시 조선인의 평균 걸음걸이로 계산한다고 해도 적어도 40~50분은 걸렸을 것입니다. 한시가 바쁜 전투현장을 가기위해서라면 수군진이 있는 바로 옆에 선소를 두는 것이 마땅한 것에 비해 거리가 제법 되는 곳에 있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양덕동 근처에 바닷물이 들어왔다면 가정을 두고 그린 지도입니다. 여기에 선소를 추정한다면 표시하였는데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다만 저 정도의 바닷물이 들어온다면 선소는 저곳이지 않겠나 하는 것일뿐입니다. 저렇게 선소를 두어도 직선거리로 1.4km가 되더군요. 이 정도라도 조선시대 세운 수군진의 선소와 아주 멀리 떨어진 곳에 있게됩니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경상우수영과 경상좌수영내에 있는 수군진과 선소와의 거리를 적어 놓은 것으로 현재의 지도에 선소까지의 거리를 다음지도에서 측정한 것으로 오차범위는 대략 30미터 내외일 것입니다. 선소까지를 측정한 것은 수군진의 객사나 동헌터 기준으로 작성한 것으로 수군진성 성문에서 측정했다면 이 거리보다 더 짧은 거리로 측정이 나옵니다. 그래서 일괄적으로 동헌터나 객사터의 기준으로 측정한 것입니다. 항상하는 이야기이지만 이런 부분은 좀 더 정확한 측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려드립니다. 아래에 표에 나오는 수군진에서 선소까지의 거리의 경우 보통 2~300 미터 내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수군진성의 성문에서 한다면 거의 100미터 내외입니다. 다만 조선시대 당시 웅천현에 있었던 천성진의 경우가 직선거리로 1km이고 둘러서 간다면 적어도 1.3km정도 될 것입니다. 여기가 가장 선소와 멀리 떨어진 곳이고 상주포보와 경상좌수영성의 경우 대략 500미터 내외며 나머지는 아주 가까운 곳에 선소가 있습니다.

거기에 비해 합포성지의 경우 직선거리로 4km라면 가장 멀다고 하는 천성진의 거의 4배의 거리이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수군진의 성(城)으로서는 낙제점에 가깝다고 봐야할 것입니다. 선소와 멀리 떨어진 곳에 수군진을 세운다는 것은 상식에도 맞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수군진

선소와 거리

당시 행정구역

제포진

100m

웅천현

안골포진

100m

웅천현

가덕진

300m

웅천현

천성진

1,000m

웅천현

영등포진

200m

거제현

장목진

300m

거제현

옥포진

300m

거제현

조라진

200m

거제현

지세포진

200m

거제현

가배량진

200m

거제현

삼천포진

300m

고성현

당포진

150m

고성현

사량진

300m

고성현

소을비포진

100m

고성현

남촌진

100m

고성현

통제영

350m

고성현

구산진

400m

칠원현

적량진

150m

진주목

미조진

200m

남해현

상주포보

500m

남해현

평산진

200m

남해현

다대진

200m

동래부

서평포진

100m

동래부

부산진

300m

동래부

경상좌수영

500m

동래부


세번째는 성(城)의 크기입니다. 합포성지의 경우 경상우병영성으로 사용될 정도로 아주 큰 영성입니다. 이정도라면 적어도 1,000명 이상의 병사가 상주해야 하는 곳으로 보여집니다.  수군진의 경우 규모에 따라 틀리지만 100명에서 500명 전후인데 그것보다 더 규모가 큰 경상우병영성의 경우 더 많은 병력이 필요합니다. 진주로 옮겨간 경상우병영의 병사를 보면 주진군 4,200여명의 병력과 수성중군영 소속 1,400여명의 수성군, 취타수 100여명이 존재하였다고 하니 적어도 5,000명의 병사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합포성의 경우 이보다 더 적은 병력으로 방어를 했다고 하면 3,000명 전후 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 규모의 경상우병영성을 수군이 지킨다는 것은 이상합니다. 수군진 중 크다고 하는 만호의 경우 병사수가 대략 500여명입니다. 만호가 아니면 이보다 더 적은 병력으로 지킵니다. 

창동에 있는 합포진성의 크기와 합포성지의 경상우병영성과 크기를 비교해보면 너무나 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네번째의 경우 합포성(임진란 당시 경상우병영성)의 형태입니다.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수군의 경우 적은 병력으로 진성을 지켜야 되다보니 방어에 유리하게 원형으로 된 진성을 축성합니다. 그런것에 비해 합포성지의 경우 오각형에 가까운 형태의 성으로 축성되어져 있습니다.
다섯번째는 수군의 방어전략으로 보여지는 부분입니다. 합포성지가 있는 곳은 진해만에서 들어오려고 하면 뱃길로 적어도 3시간 정도 시간이 소요됩니다. (입구에서 마산 선소가 있는 곳까지 대략 16km 판옥선의 경우 한시간 5~7km 이동거리 기준) 그곳에서 나와 제포가 있는 곳까지 가려고 한다면 5시간은 걸리는 거리입니다. 그런 부분 때문인지는 몰라도 임진왜란이 끝난 후 1614년(광해군 6)에 마산만 입구인 구산에 구산진을 설치합니다. 구산진의 경우 현재 창원시 마산합포구 덕동이 있는 곳입니다. 구산진에서 제포까지는 뱃길로 16km정도 되는 곳입니다.

구산진과 제포사이에 풍덕포보가 있는데 현재의 해군사관학교 자리입니다. 즉 구산진, 제포진, 풍덕포보의 수군진이 먼저 나와서 적을 맞이하는 것에 비해 합포성지의 경우 너무 멀리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군의 방어적인 입장에서도 합포성지의 경우 수군진으로서의 위치는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섯번째로 구산진의 설립시기와 배경입니다. 구산진의 경우 1614년(광해군 6)에 세워지는데 경상우병영성이 진주로 넘어가는 시기가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1603년(선조 36년)에 옮겨가는데 11년이 지난 후 마산만 입구에 수군기지를 세워지는 이유는 아무래도 마산만 방어가 필요한 것 때문이지 않겠나 생각이 됩니다. 만약 계속해서 합포성지를 수군기지로 사용이 되었다면 굳이 구산진을 만들 이유가 없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일곱번째로는 합포진성이라고 하는 부분이 조선초기까지 사용한 곳이 가까이에 있습니다. 창동에 있는 곳에 있었습니다. 합포진성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는 곳에 선소가 있고 이곳의 경우 일제강점기까지 형태가 남아있었던 곳이며 지금도 흔적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가까운 곳에 합포진성이 있었던 곳을 놓아두고 합포성지에 수군진을 세운다는 것은 상식에 맞지 않습니다.   
일제 강점기때의 지적도를 보면 조창터 밑에 선박을 수리하는 굴강이 두개가 있습니다. 동굴강과 서굴강 그리고 오산진과 서성진의 모습이 보입니다. 마산창 위가 합포진성터로 추정이 되는 곳입니다. 이렇게 가까운곳에 선소와 굴강이 있는 곳에 수군기지를 세우지 저렇게 멀리 있는 곳에 수군기지를 세운다는 것은 이상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이미지출처 :허정도와 함께하는 도시이야기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백과사전과 합포성지 안내판에 적혀 있는 합포성지의 경우 임진왜란이 끝난 후 수군기지로 사용했다는 것은 아닐 것으로 보여지고 보다 정확한 내용을 알기위해서는 본격적인 학술 연구가 있어야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합포성지(경상우병영성) 바로가기
합포진성 바로가기
구산진 바로가기




핑백

덧글

  • 마즈 2011/06/12 04:31 #

    오오~~회원시립도서관이 예전 가야때 성지가있다는 자료집은 봣엇는ㄷ;;;아;;;관광도에;;;성지터하구요;;울동네에 이렇게 많이 잇을줄이야 ㄷㄷ한면 답사를 해봐야겟네요 ㄷㄷㄷㄷㄷ
  • 팬저 2011/06/12 15:19 #

    회원시립도서관 뒤에 이산성지가 있기는 있지만 오래전에 있어서 성터가 남아있는 것이 없다고 들었습니다.
    회원현성은 자산동에 있는 창원시립박물관(예전 마산박물관)자리에 있습니다.
  • 2016/04/11 13:47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2016/04/12 09:31 # 비공개

    비공개 답글입니다.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