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천억원 정도는 돈도 아니지요! 해군

유도탄고속함 10대 더 도입 기사보기


2016년까지 총 34척 배치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윤영하함급의 문제와 함께 한상국함 등의 유도탄고속함이 실전배치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10대를 더 도입한다는 기사를 보니 할 말이 없네요. 윤영하함급의 경우 1번함인 윤영하함의 경우 문제점이 발견되어 해군에 전력화되는 것도 시간이 걸렸습니다.

이후 2번함인 한상국함의 경우 워터제트엔진을 국산으로 바꾸어서 해결하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2번함부터 7번함까지 한꺼번에 진수를 하였지만 갈지자로 운행하여 아직 실전배치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유도탄고속함을 10대 더 도입한다는 것에 관하여 이해를 하지 못하겠습니다.

이미지출처 :  비밀 (http://bemil.chosun.com )의 야거님 
오늘(2011년 7월 15일) 한상국함이 있는 STX조선을 가보니 아직도 실전배치되지 못하고 조선소안에 있더군요. 위 사진과 달리 바닷가에 있더군요. 전력화 되어서 함대로 가야할 함정들이 조선소에서 고개만 숙이고 있더군요. 지금이면 마땅히 전력화되어서 실전배치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조선소에서 고개만 숙이고 있는 함정이 무려 6척입니다. STX조선 4척 한진중공업 2척 도합 6척입니다. 한척당 대당 860억원에서 960억이라고 하니 6천억원의 국민의 세금이 놀고 있습니다. 6천억원 정도는 돈도 아니지 않는다는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그런 마당에 문제점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고속정을 도입한다고 하니 한마디로 할 말이 없네요. 윤영하함의 문
제점이 발생되고 그동안 계속해서 문제점이 없다고 이야기하던 방사청도 대단합니다. 초도함에 대한 시험평가가 끝나지도 않은 상황에서 2번함의 건조에 들어간 것은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2번함인 한상국함의 경우 윤영하함과 다른 워터제트엔진을 사용하였는데도 시험평가도 하지 않고 또 3번함부터 7번함까지 한꺼번에 발주하여 고철로 만들어 놓아버렸습니다. 한상국함의 진수가 된지 1년이 넘어도 아직 전력화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한번도 아니고 두번이나 실수아닌 실수를 하고 또 다시 유도탄고속함을 발주하려고 하네요. 이렇게해서 삼진아웃을 당하려고 하는 것인가요?

이런 부분의 문제점이 있어도 시민단체들은 가만히 있나요? 8번함부터 진수되어야 할 함정도 all Stop이네요. 그런데 유도탄고속함 더 도입한다는 것은 언론플레이인가요? 오늘 STX갔다가 보니 조금 우울하네요.



핑백

  • 팬저의 국방여행 : 아직도 전력화 되지 못하고 있는 한상국함 2011-08-14 21:17:07 #

    ... 저번에 6,000억원은 돈도 아니지요라고 포스팅을 하고나서 잊어버렸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평상시보다 많은 분들이 필자의 블로그를 방문하여 놀랬는데 그 이유가 바로 6,000 ... more

  • 팬저의 국방여행 : 윤영하급 더이상 답은 없다 재설계만이 답이다. 2011-08-29 11:35:03 #

    ... STX조선에 정박한 것을 보고 글을 올렸습니다. 이 글이 올라가고 나서 유용원의 군사셰계와 각종 밀리터리 카페로 퍼가면서 많이들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6천억원은 돈도 아니지요? 이때 필자는 현재까지 발주된 윤영하급 고속함의 숫자에 1,000억원을 계산했는데 KBS 보도를 보면 2조 4천억원이라고 합니다. 이 2조 4천 ... more

  • 팬저의 국방여행 : 6,000억원도 돈도 아닌데 123억원은 껌값이죠 2012-01-12 09:34:36 #

    ... 여러곳에서 전해져 옵니다. 고속함으로서 여러가지 문제로 전력화에 더욱 문제가 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부분에 관한 것은 아직도 진행중입니다.6,000억원은 돈도 아니지요 발제글 보기 윤영하함급 2번함부터 5번함까지는 STX조선해양에서 만들었는데 그 고속함정들이 여러가지 문제로 STX조선해양에서 쉬고 있더라는 것입니다. ... more

덧글

  • 궁상각치우 2011/07/15 21:08 #

    아..안타깝네요. 실전배치 안하는 이유가 구조상의 결함때문인건가요?
  • 팬저 2011/07/15 22:16 #

    구조상의 결함이라고 봐야겠죠... 이것을 선택한 방사청의 시스템부재도 한몫했다고 봐야겠죠.
  • 에스프레소 2011/07/16 10:02 # 삭제

    이거 말고도 알려지지 않은 흑역사들이 더 있을텐데.... 이런 것들이 많이 알려져야 피드백이되서 더 나은 것들이 만들어 질 수 있을텐데요
  • 팬저 2011/07/16 11:38 #

    알려지지 않는 내용들이 더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군사무기의 경우 거의 쉬쉬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보니 이러한 현상이 생기는 것 같은데 빨리 해결이 되었으면 합니다.
  • 부산촌놈 2011/07/16 11:18 #

    시험평가도 안 했다는 건 천번 양보해도 이해가 안 되는 사항이군요;;
  • 팬저 2011/07/16 11:38 #

    도저히 상식적으로 용납이 안된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 보노보노 2011/07/27 16:20 # 삭제

    제가 보기엔,공무원들도 이런 문제에 대해서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할 것 같습니다. 이런 부분도 국정감사, 조사를 통해서 명백하게 밝혀져야 하는 건데... 저 개인적으로는 윤영하급의 존재의미 자체에 의문을 가지고 있습니다. 과연 이런 함이 필요한건지요? 물론, 기존 고속정 개선의 필요가 있다는 건 O.K. 그러나, 이후 전면전이나 혹은 국지적 군사분쟁의 경우, 이런류의 함이 얼마나 유용할지 의문스럽군요. 서해교전이후 그것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함이라고 생각하면 지나친 걸지?
  • 팬저 2011/07/27 18:10 #

    이런부분에 관해서 엄중한 문책을 하려면 국정감사 가지고 될련지 모르겠습니다. 마음 같아서는 문책을 묻고 싶지만 다들 빠져나가기 바쁘니까 말이죠.
  • 지옥성녀은비 2011/08/02 10:50 # 삭제

    왜 공무원들이 책임을 져야 하나요? 정치가들이 한일입니다.

    공무원들 못 믿겠다고 전문가들이 도입하던 무기를 방사청만들어서
    비전문가들이 도입하게 하였습니다.

    그러니 쥐뿔도 모르는 비전문가들이 판치게 만들어 놓고 공무원들에게 책임을 묻겠다고요
    면장도 해본놈이 해본다고 배만들어본놈이 배를 도입해야 비리가 있건 뭐건
    그래도 제대로 돌아가는 배가 나오지 배에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놈들이 하니 제대로 되겠습니까.
    공군 기관전공자가 감독자이어야할 공군전투기 엔진은 육군 포병장교가 감독 책임자라고 하지요
  • ttttt 2011/08/01 23:57 #

    어휴.. ㅠ.ㅠ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