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양읍성 3편에서도 홍교라 잘못 알려진 서문리 고흥홍교에 관해서 이야기 하였는데요. 1872년 지방지에 나오는 흥양읍성의 모습으로 홍교의 모습은 보이지 않습니다. 수구문이 있는데 서문쪽 수구문과 남문쪽 수구문의 모습이 보이는데 이번에 소개할 것은 남문옆 수구문인 옥하리 홍교(잘못 알려져서 빨리 명칭을 바꿔어야 하는데 말이죠)를 이야기 하겠습니다. 지도출처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현 흥양읍성의 경우 북측체성 일부와 서측체성일부가 남아있는데 그 체성에 관하여는 다른편에서 이야기 하였습니다. 이번에 소개할 옥하리 홍교라고 잘못 알려진 남측 수구문의 경우 아래 지도를 보면 위치가 어디인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추정남문옆에 있으며 서측에서 흘러내려오는 하천을 따라 남측으로 흘러가고 그 하천이 고흥천으로 흘러가는 구조입니다. 서측의 경우 야산을 끼고 체성이 지나가는데 답사하지 못하였네요. 지도출처 : 다음지도 필자 지적도 바탕으로 체성 채색

▼ 일단 서문리 홍교가 있는곳에서 길(하천이었는데 복개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아마도 맞을 것입니다)을 따라 내려오면 만나는 것이 옥하리 홍교인데 이름에서도 알 수 있는 것 처럼 형옥이 근처에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872년 지방지 고지도를 보면 남문근처에 형옥이 있는데 바로 그 이유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 조금 더 가까이 가서 바라보니 서문에 있는 수구문과 같이 내측에는 용의 꼬리가 자리잡고 있는데 서문 수구문에 있는 용의 꼬리와 달리 모양이 없습니다. 무지개모양의 수구문과 그 위에 있는 체성의 성돌은 색상이 틀리는 것을 알 수있는데 이를 미루어보아 최근에 복원한( 무지개 수구문을 제외하고는)것으로 보입니다.





▼ 정면에서 바라본 남측 수구문으로 여장이 자리잡고 있다는 것만 보아도 이것은 다리가 아니고 수구문임을 알려주는 것인데 왜 옥하리 홍교라고 몇십년 동안 불리는 것일까요?

▼ 체성의 경우 보이는 한옥모양의 민가를 타고 사진에 보이는 마치산으로 올라갔을 것입니다.



▼ 서측 수구문에 있는 용두의 모습으로 아래에 나올 남측 수구문의 용두와 비교해보세요. 용두는 수구문으로 들어오지 말라고 하는 무서운 얼굴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용은 여의주를 물고 있습니다. 이렇게 용이 여의주를 물고 있는것은 바로 수구문 즉 물 때문이라고 필자는 생각합니다. 용이 승천하려면 물이 필요한데 물이 있는 수구문에서 용이 승천하여 수구문을 지키겠다는 의지의 표현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그에 비해 남측 수구문에 있는 용두의 경우 익살스러운 표정을 짓고 있습니다. 입을 벌리고 있으며 여의주의 모습이 보이지 않네요. 사진을 잘 못찍었나요? 어찌보면 여의주를 물고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일단 여의주를 물고 있는 것으로 정리합니다. 또 가운데 있는 돌의 경우 암만 보아도 새롭게 복원하면서 만들었다는 생각을 가지게 만드네요. 들어오는 적을 막는 것이 아니고 수구문을 통과하는 적들에게 겁을 주는 것일까요?

▼ 군데 군데 원형으로 된 구멍이 보이는데 막아 놓았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 문경세제 주홀관에 있는 수구문의 모습으로 수구문위에 체성이 조성되어져 있고 그위에 여장이 설치되어져 있는데 흥양읍성의 남측 수구문의 경우 이런식으로 되저여 있으면 있었지 위에 있는 방식은 아닌것 같습니다. 사진출처 : 오솔길님 http://blog.daum.net/bae6607

▼ 남측 수구문에서 마치산을 바라본 모습으로 마치산 정상에서 이어져 오는 체성이 있었을 것입니다.

▼ 남측 수구문을 나와 골목을 바라본 모습으로 서측 방향입니다.
▼ 반대편을 바라본 모습으로 사우나를 조금 지나면 남문지가 나올 것입니다.
▼ 고흥동초등학교의 경우 고흥읍성 내부에 있어야하는데 그렇지 않고 외각에 자리잡고 있더군요. 보통 읍성이 무너지면서 그곳에 초등학교가 들어서는데 고흥은 아닌가라는 생각을 가졌습니다.




수구문과 홍교는 성격 자체가 틀린데 왜 수구문이 홍교로 남아있는 것일까요? 예전에 문화재심의위원들이 몰라서 그랬나요? 현재 옥하리 홍교라고 알려진 남측 수구문은 전남 유형문화재73호로 지정되어져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해야할까요? 남측 수구문 아래에 있는 용두의 경우 예전부터 있었는것인지 그렇다면 서측에 있는 수구문과 왜 다른 방식으로 조성되어져 있는지가 궁금하고 예전이 아니고 근대에 만들어졌다면 누가 왜 만들어졌을까요? 자료를 틈틈히 찾아보고 다시 한번 발제글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