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장군이 근무했던 흥양 발포진성_01 진성(鎭城)

발포진성의 경우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내발리에 발포진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 발포진의 경우 전라좌수영 소속이었는데 전라좌수영이 관할하던 5관 5포중 1관(흥양현이고 현재는 고흥군) 4포(사도진, 여도진, 발포진, 녹도진)가 고흥에 있을 정도로 전라좌수영에서는 아주 중요한 곳이었습니다. 이곳 발포진에 이순신장군이 청년시절 부임했던 곳이기도 합니다. 또 부임시절 상관이 거문고를 만들기 위해 발포진 뜰에 있던 오동나무를 베어가려 하자 ‘공물을 사사로이 처분할 수 없다’며 이를 막아서는 사건이 일어나 나중에 서익에 미운털이 바뀌게 된 곳도 바로 이 발포진입니다.

발포진성에 관하여는 흥양현지도에 나옵니다. 흥양현 아래부분에 자리잡고 있는 발포진의 경우 성문이 한개 자리잡고 있으며 둥근형태의 진성에 관아의 모습이 보입니다. 
지승지도에서 본 발포진의 모습입니다. 위 지도와 비슷하게 둥근형태의 발포진성의 모습과 성문은 1개이며 가운데 객사와 동헌으로 보이는 건물이 보입니다.
여지도에서 본 발포진의 모습으로 위지도와 거의 비슷한데 굴강의 모습이 등장합니다. 
해동지도에서 본 발포진의 모습으로 발포진성은 위지도와 달리 사각형의 형태에 성문이 한개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체성에는 여장의 모습이 보입니다. 그리고 선창의 모습도 보입니다. 
1872년 지방지에서 본 발포진의 모습으로 위에서 나온 지도와 달리 자세하게 표현되어져 있습니다. 사각형에 가까운 형태의 진성이며 성문은 3개임을 알 수 있으며 북문은 보이지 않습니다. 남문옆에 굴강의 모습도 보이네요. 객사의 경우 발포진성의 오른쪽 동문옆에 있으며 동헌의 경우 서문옆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발포진성 내부는 작아서 민가들은 거의 발포진성 외각에 자리잡고 있으며 몇몇 민가들만 발포진성안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굴강에는 전선1척과 사후선 1척 그리고  맹선으로 보이는 선박이 1척 보입니다. 
현재지도를 기준으로 발포진의 모습을 살펴보면 더욱 더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여수를 지나서 목포로 가려면 반드시 지나가야 하는 곳이 바로 나로도이며 나로도를 거쳐서 지족도를 가야 빨리 갈 수 있는데 그 길목에 발포진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발포진을 살펴보면 만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곳에 진성과 선소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또 남으로는 섬이 자리잡고 있어서 발포진의 전선을 숨길 수 가 있는 구조로 되어져 있습니다. 
현재 발포진성의 경우 서측일부만 복원을 하였고 서측을 제외한 나머지는 현재 알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아래에 나오는 발포진성의 체성의 평면도는 필자가 임의로 추정하여 그려 놓은 것입니다. 물론 발품을 팔아서 알아냈지만 일부 틀릴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일단 발포진성을 보면 직사각형의 형태로 된 진성임을 알 수 있으며 성문은 3개로 구성되어져 있습니다. 성문의 경우 옛길을 기준으로 필자가 임의로 추정하였습니다. 따라서 틀릴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그나저나 군단위에서는 예산이 되지 않으니 발굴조사는 고사하고 지표조사도 잘 하지 않네요. (클릭하시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발포진의 굴강입니다. 전국에 굴강이 여러개 남아있는데 여기도 잘 남아있습니다. 다만 예전과 달리 굴강으로서의 기능은 힘이 듭니다. 
예전에는 굴강과 바다가 연결되어 바다를 통해 전선들이 출입을 할 수 있었으나 지금은 바다를 매립한 상태라 바다와 연결이 되어있지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 전선이 있어도 빠져나가기가 힘이듭니다. 
저렇게 다리가 있는데 그 밑으로 가면 되겠지만 보시는 것과 같이 물도 없고 바다와 연결이 되지 않아서 힘이들겠죠.
굴강의 안내문으로 보시면 이해하시리라 생각됩니다. 지금은 거의 상징적인 의미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굴강에서 조금 걸어가면 만나는 만호공적비로 총 4개가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공적비가 4개라면 상당히 적은 갯수라고 봐야하는데 무조건 공적비가 많다고 훌륭하게 일을 잘 한 것은 아닙니다.
좌측에 두개 우측에 두개로 자리잡고 있으며 공적비의 경우 가운데가 부셔진 것을 다시 매꾸어버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충무공 머무신곳이라는 비석(?)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충무공 머무신 곳에서 보면 왜가리가 자리잡고 있는 곳이 보입니다.
체성과 같이 이루어져 있는데 이곳이 체성이 연결되었는지 아닌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발포진 서측체성을 가면 홍살문이 보이는데 이는 발포진성과 관계없이 충무사앞에 자리잡고 있는 곳으로 충무사를 들어가기전에 몸가짐을 하라고 하는 의미로 봐야할 것입니다. 
최근에 복원한 발포진성의 모습으로 조선초기 해안읍성의 방식으로 축성되어져 있습니다. 
미석도 보이고 하단부를 보면 잔돌끼움방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곳 서측체성만 복원한 상태입니다.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