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령 의병박물관의 고증문제에 관하여 임진왜란

경남 의령에 있는 의령의병박물관을 갔다왔습니다. 관람료의 경우 현재 무료이더군요. 의병박물관을 들어서면 만나는 것이 곽재우장군의 동상입니다. 백마를 타고 홍의를 입고 있는 곽재우장군의 동상을 보니 포스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이 홍의장군 곽재우를 중심으로 좌우에 전시관이 있으며 사진 우측에 곽재우장군의 전투를 알 수 있게 해놓았습니다.
 그런데 들어가자 마자 본 것이 바로 아래에 나오는 임진왜란의 흔적 왜성이라는 내용입니다. 이 내용을 보면 왜성이 23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학계에서 이야기하는 28~30개의 왜성과 갯수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어디 어디가 빠졌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정유재란 당시에 축성한 왜성은 잘 맞는 것 같은데 임진왜란 당시에 축성한 왜성은 갯수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확대해 본 왜성의 위치와 갯수입니다. 
예전에 필자가 올렸던 이미지로 영국에 있는 아마추어 영국인이 왜성의 위치를 올려놓은 구글지도입니다. 보실려면 이곳을 클릭하세요.   부산성의 자성인 자성대왜성(이것은 저번에도 이야기하였지만 두개가 아닌 한개라고 필자는 주장합니다. 영도에 있는 동상동왜성, 박문구왜성(이것은 진짜인지 아닌지 알 수가 없다고 하네요), 가덕도에는 왜성이 두개인데 명칭은 필자도 헷갈립니다. 성북왜성과 가덕왜성, 웅천읍성 뒤에 있는 자마왜성이 빠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미지가 작아서 다 표현하지 못하였겠지만 박물관인데 그래도 정확하게 표기하는 것이 좋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디오라마로 제작된 정암진전투의 모습으로 고바야카와의 휘하 부하 안코쿠지 에케이(安国寺恵瓊)가 이끄는 2000명의 군대를 재현하였는데(인원은 그렇게 되지 않지만 말이죠) 안코쿠지 에케이의 부대 깃발까지 고증에 맞추어져 있더군요.
그런데 디오라마에서 또 한가지 문제가 있는 것이 보이더군요.  일본군들이 들고 있는 활의 경우 조선군이 사용하고 있는 각궁의 모습입니다. 일본군이 조선군의 각궁을 뻈어서 사용하였다고 하면 이야기가 되지만 활이라는 것이 하루 이틀 연습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닌데 말이죠. 
조선의 활과 달리 일본활은 아래 사진과 같이 아주 큰 활로 장궁입니다. 일본 애니메이션 이누야사에도 이런 큰 활을 들고 다니죠. 일본군이 임진왜란 당시 들고 다녔던 활은 이런 활이니 모형제작에도 이런 활로 만드는 것이 맞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했네요. 
일단 생각나는 고증부분 오류 2개를 이야기하였습니다. 일반인들이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글이 오류가 날 수 있겠지만 박물관에서는 보다 활실한 고증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핑백

  • 팬저의 국방여행 : 칠천량해전기념관 자료 오류(?) 2013-07-03 20:15:19 #

    ... 는데 여러가지 문제점이 많이 노출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희안하게 필자의 눈에 잘 들어오는군요. 남해 관음포에 있는 이순신영상관에서 본 자료오류 의령박물관의 왜성의 숫자 오류 전라좌수영의 거북선을 전라우수영이라고 적어 놓은 통영에 있는 거북선 박물관이나 기념관 등에서는 이런 부분에 대하여 꼼꼼한 점검과 검토가 필요합니다 ... more

덧글

  • m1a1carbine 2013/01/21 17:17 #

    잘 보면 왜군 조총병이 각개전투에 포복사격을 하고 있는 개그도 볼수 있습니다.

    여담.뜬금없이 궁금해진건데 유미와 다이큐의 크기 차이는 어느정도인가요.
  • Fedaykin 2013/01/21 17:43 #

    ㅋㅋㅋㅋㅋㅋㅋㅋㅋ포복사격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러고보니 불멸의 이순신에서 봤던 조총류 총검술이 생각나네요 ㄲㄲㄲㄲ
  • 무갑 2013/01/21 21:05 #

    인터넷도 안찾아보는 무성의 함이라니. 남자다!! 라고 외쳐야될까요? -_-
  • 팬저 2013/01/22 01:40 #

    업드려 쏴 자세는 보지 못했는데 그렇네요. 눈썰매가 좋으네요.
  • 팬저 2013/01/22 03:42 #

    무갑님/ 맞습니다.조금만 더 알아본다면 막을 수 있는 것 같은데 말이죠.
  • Warfare Archaeology 2013/01/22 13:39 #

    포복사격...스나이퍼였나 봅니다. ^^;;;
  • 팬저 2013/01/22 14:24 #

    예.... 그렇네요. 당시 스코프도 없었는데 스코프는 대나무로 만든 것이었을까요? ㅎㅎㅎ
  • Warfare Archaeology 2013/01/22 14:30 #

    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러게 말입니다. ㅋㅋ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