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진중공업이 방위사업청과 4175억원에 제2 독도함 건조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2007년 해군에 인도된 독도함 이후 근 7년만에 2번함 건조가 났습니다.
독도함(LPH, Landing Platform Helicopter)은 만재 배수량 1만8800톤에 달하며 길이 199m, 너비는 31m, 흘수는 6.6m로 최대속도는 23노트의 제원을 갖추고 있습니다. 2번함은 독도함보다 최대 20%까지 더 크기를 키울 수 있다고 하는데 정확한 것은 조금 더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또 수직이착륙 항공기, MV-22 오스프리가 이,착륙할 수 있도록 독도함의 갑판을 고강도 재질로 확장할 것이라고 합니다.
제 2독도함은 갑판이 3층 구조는 아닐 것이고 현 독도함과 같이 2층 구조일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 LSF-2에 관한 이야기는 없지만 독도함과 같이 2척이 발주날 것으로 보여집니다. 기존 LSF-631,632번과 함께 총 4척이 운영되어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동안 독도함에 상륙용헬기가 없어서 행사용이다는 밀리터리 매니아들의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상륙기동헬기의 경우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선정되어 기술 개발중에 있습니다. 해병대가 운용할 상륙기동헬기는 한국 최초 헬기인 KUH(수리온)를 기반으로 해군의 강습상륙함인 독도함(LPH-6111) 및 제2독도함(LPH-6112)에 탑재할 수 있도록 메인로터 및 테일부를 폴딩식으로 개조하고, 최소 5시간 항속시간연장 및 해상작전 시 염분을 제거하는 장치도 부착하여 함정 및 해상 환경에서 최적화된 운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될 예정입니다.

▼ 상륙기동헬기 양산에 돌입 당초 해병대 운용 목표년도인 2018년까지 40여대를 실전 배치하게 된다고 합니다. 36대라고 하는 부분이 있는데 36대가 맞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36대로 2개 기동대대를 운영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즉 독도함에 헬기가 실리는 것은 2017년 정도 되어야 된다는 것이고 제 2 독도함은 2018년 이후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제 2독도함은 2020년 전력화 될 예정이라 전력화와 동시에 상륙기동헬기가 자리잡고 있을 예정입니다. 독도함을 기준으로 본다면 제 2독도함은 2018년 진수될 확률이 맞을 것 같습니다.

현재 차기상륙함인 천왕봉함도 취역하여 테스트중에 있으며 별 이상이 없으면 2015년 말이나 2016년 초에 전력화될 예정입니다. 천왕봉함 2번함과 3번함은 현대중공업에서 건조하고 있거나 건조할 예정에 있으며 2번함은 2015년 진수, 2016년 전력화 될 예정이며 3번함은 2016년 진수, 2017년 전력화될 예정입니다. 또 천왕봉 네번째함도 2017년 진수,2018년 전력화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제2 독도함이 전력화 되는 2020년에 여단급 상륙작전이 미군의 도움없이 단독으로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기존 보유하고 있는 고준봉급 상륙함 4척, 천왕봉급 4척, 독도급 2척이며 해병 병력 3,500명 정도 상륙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 장비로는 상륙헬기 20여대+α, LSF-2 4대, LCM-H 12대, KAAV, K1E1전차,K1A2전차,K9자주포 등이 상륙할 것 같기도 합니다.(전차는 변수가 있습니다만)

덧글
그리고 독도함은 설계에 문제가 있다고 정평이 나있는 녀석 아니었나요... 뭐 필요하기야 하겠지만 우리나라 해병대들이 상륙작전은 펼칠줄 알련지..... 여튼 정줄 놓고 사니 놀라운 소식들을 듣게 되네요
여러모로 아쉬운 부분이 있는 것이 독도함이죠.
독도함도 2020년다까지는 육항이나 해군 항공대 헬기를 빌려가면서..콘서트 운영을 해야할판이고..
개발되면 해경에도 수색구조용으로 도입하게 해서 생산대수 늘여서 단가를 낮추는 방향으로 갔으면 좋겠네요.
가만있다 이유없이 추락하는 AW139같은 수상한 헬기좀 쓰지 말고.
뭐 해경에 그럴 예산이 있을지는 의문입니다만.
기왕 해군용으로 내염처리된 물건을 개발한다면 비슷하게 내염처리된 장비를 필요로 하는 해경에서도 구입해서
대당 생산 단가를 낮추면 좋지 않을까 해서 한 말입니다 ㅎㅎ
헬기든 뭐든 많이 찍어낼수록 대당 단가는 싸지니까요.
그건 그렇고, 해경 조종인력 질은 괜찮아졌나 모르겠네요. 충원율이 낮다는 이야기도 있었죠, 그리고, 채용과정이 부실하고 비리가 있어서 전에 난리난 적 있었죠. 비행기가 착륙을 해야 하는데 기장이 착륙을 못 시켜서 부기장이 착륙시켰음.. 마침 감사기관 사람이 타고 있어서 조사들어갔고, 알고 보니 부기장은 공군출신, 기장은 야매면장..
그리고 공군도, 조종해보지 않은 크루(항법사 등)에게 마치 조종훈련을 받고 기장으로서 비행시간을 채운 것처럼 비행기록을 발급해 민간에서 조종사로 취업하도록 편의를 봐줬다가 말썽난 적이 있었죠. 그 때 뉴스가 소급해서 기록을 고치지 않고 그냥 앞으로 잘 하겠다하고 덮었던 것 같던데.
(미해병대와 합동으로 북한지역 상륙작전을 할 수 있을까요? 훈련이야 같이 한다지만...)
랜덤닉네임치고 좋은거같아 안바꾸렵니다 ㅎ
이번 제2독도함건조는 정말아쉽습니다..
기간을 연장해서라도 2만 7천톤급으로 건조했으면
좋았을텐데말이죠....
제3의 독도함에 기대를 해야겟네요..
GDP가 두배성장하면 국방비도 2배늘어난다는글인데.
정말 경제력 GDP가 한 영국정도만 되면좋겟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