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군진조사 전라좌수영편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발행 진성(鎭城)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 발행한 "조선시대 수군진조사2 전라좌수영" 소개를 최근에 하였습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홈페이지에 PDF화일이 올라오기를 기다렸습니다만 올라오지 않더군요. 전화를 해서 확인을 해보니 발행하고 나서 6개월 이후에 PDF화일을 홈페이지에 올린다고 하더군요. "생각보다 많이 늦게 PDF화일을 올리는 것 같다고 이야기를 하니까?" 전라좌수영 CD를 보내주겠다고 하더군요. 저번편에는 전라우수영 책으로 받았는데 이번에는 CD로 받았습니다. CD안에는 전라좌수영 수군진 조사한 PDF화일이 들어 있었습니다. 

책자에는 전라좌수영 본영을 비롯하여 방답진, 사도진, 여도진, 발포진, 녹도진, 돌산진에 관한 자료들이 들어있습니다. 전라우수영의 경우 수군진이 많다보니 하나 하나 소개하는데 양도 많았지만 전라좌수영은 6개의 수군진과 본영을 소개하니 아무래도 양이 부족한 것은 사실입니다. 

이러한 부분을 보충하는 것이 "조선시대 전라좌수영 고찰"입니다. 조선시대 전라좌수영 고찰에는 전라좌수영의 설치와 운영, 전라좌도지역의 조선시대 수군 진보성 연구, 임진왜란중 전라좌수영과 이순신, 전롸좌수영 관내 진성의 굴강. 고지도를 통해 본 전라좌수영, 전라좌수영의 봉수의 자료가 들어 있습니다.

전라좌수영 본영을 비롯한 수군진은 현재 잘 남아있는 곳은 한 곳도 없으며 흔적만 있는 곳이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남아있는 흔적과 굴강,수군진 건물 등을 조사하면서 작성한 자료들이 책에 있습니다. 무엇보다 일제강점기때 조사한 지적도를 기준으로 현재의 지형을 대비하여 수군진을 찾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수군진뿐 아니라 성곽의 지형도를 조사하는데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344 페이지인 전라좌수영편을 읽다보면 조선시대 수군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함대를 이끌었던 수군들을 만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2012년 전라우수영, 2014년 전라좌수영편을 만든 국립해야문화재연구소에서는 2016년 경상우수영편을 시작으로 경상좌수영,충청수영,경기수영,강원수영까지 집대성 할 것이라고 하니 조선시대 수군진에 관한 자료가 탄생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부분이 완료하는데 2025년 정도되지 않을까 추정합니다. 아니면 그보다 빨리 자료를 정리할 수 있을 것이고요. 다만 현대화와 도시화가 빨리 진행되면서 수많은 자료를 찾기가 쉽지 않아보입니다.

사진은 발포진의 굴강 안내판사진입니다. 이번 전라좌수영편에는 이런 굴강에 관련된 이야기도 있습니다.




덧글

  • 우지코스 2015/01/02 06:42 #

    오오 굉장히 좋은 자료네요!!!
  • 팬저 2015/01/02 11:27 #

    4월이 되어야 PDF화일을 볼 수 있을 것 같고요. 아니면 5월이 되어야 될 것 같네요.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