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어제 공개한 신형고속정에 관하여 많은 관심이 있는 것이 사실이며 그 부분에 관하여 궁금한 것도 사실입니다. 아마추어 밀리터리 매니아라 보니 주어지는 정보가 많지 않는 상태에서 이리 저리 알아보는 것도 만만치 않습니다.
농어급 신형 고속정의 사진은 방송국에서 공개된 자료를 가지고 캡처한 것이 많은데 그중 하나가 아래에 나오는 사진입니다. SBS에서 보도한 내용중 농어급 고속정 측면이 있어서 캡처한 것인데 신문사에서는 이런 사진이 없어서 그런지 몇 분이 퍼갔더군요. 그중 하나가 유용원의 군사세계에서 나왔는데요.
이 자유게시판에 나오는 내용중 많은 분들이 저것은 채프/플레어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과연 채프/플레어가 맞는 것일까요? 그러면서 팬저가 찍어 놓은 양만춘함의 채프발사기(http://panzercho.egloos.com/2768591)를 두고 맞다고 하시는데 과연 그럴까요? 여러분이 보시기에는 과연 저것이 무엇일까요?

▼ 팬저가 저번 발제글에 농어급 고속정 함미에 채프/플레어가 있다고 하였습니다. 빨강색으로 동그랗게 표시하여 놓았습니다.

▼ 현재 북한에서 채프/플레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표시한 것과 채프/플레어가 같아보이는지요?

▼ 여러군데 채프/플레어가 있지만 대한민국 해군이 보유하고 있는 채프/플레어와 비슷합니다. 물론 채프/플레어가 저런 종류만 있는 것은 아니지요?

▼ 참수리 고속정에 있는 채프/플레어

▼ 그럼 일단 농어급 고속정 함미에 있는 녀석을 살펴보도록 하지요! 빨강색으로 표시한 것을 보면 사각형으로 되어져 있으며 하단에는 360도 회전할 수 있게 둥글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 지난 2014년 6월에 SBS에서 보도한 북한의 새로운 고속정이라고 하는 녀석에도 저런 것이 부착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북한의 신형 고속정에 대한 관심들이 많아서 그런지 외국 사이트에서 고속정에 대한 분석을 하였는데 둥글게 생긴 부분에 이상하게 생긴 사각형이 있으며 해군병사가 한명 올라가 있습니다.

▼ 저 이미지와 같은 것이지요! 동영상이 빨리 회전하는 관계로 이미지가 깨끗하지 못하네요. 저 동영상이 있는 곳은 미얀마해군의 해상사열 장면에서 나옵니다. 유투브 바로가기

▼ 저 녀석의 정체는 바로 이글라를 베이스로 하는 단거리 대공미사일 발사체라는 것입니다. 아래에 러시아 GIBKA 리플렛에 잘 나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글라를 베이스로 한 GIBKA 의 미얀마 버전이라고 하네요. 미얀마 해군이 사용하고 있는 14.5미리 캐틀링건은 북한에서 제공한 것이니 서로 윈윈한 것일까요? 아니면 러시아에 이야기하여 미얀마 버전을 수입한 것일까요? 북한이 미얀마로 수출한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 미얀마의 UMS Kyan Sit Thar (F-12) 함에 6연발 단거리대공미사일이 장착되어져 있습니다. 이 단거리대공미사일은 북한에서 제작되어 미얀마로 넘어 온 것 같습니다. 자세히 보시면 미사일이 장착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고 위에서 나온 사진들은 미사일이 장착되어져 있지 않습니다. 1x6 MANPADS (SAM)North Korea

▼ 팬저가 저번에 한국형 단거리 대공미사일을 해상용으로 개발한다던 부분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하다고 발제글을 적었는데 (해궁용 미사일 장착은 언제 발제글 보기) 북한에서도 자신들의 상황에 맞게 단거리 대공미사일을 고속정에 달았다고 봐야할 것입니다. 현재 러시아에서 만든 단거리 대공미사일 해상형 버전은 여러종류가 있으며 러시아 등을 비롯하여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 북한군은 현재 박스형태의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을 개발하여 사용중에 있습니다. SA-13GOPHE 이지요. 중국이 개발한 TY-90을 응용한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해상용으로 만든 것인지 미얀마 버전을 가져온 것인지 러시아에서 바로 직 수입한 것인지 확실하지 않지만 농어급 고속정에 단거리 대공 미사일을 단 것으로 보인다는 것입니다. 아무래도 미얀마 버전을 가져온 것 같습니다.

일단 농어급 고속정은 대함미사일,대공미사일을 장착하고 있으며 AK-230 + AK-630의 30미리 CIWS 2개와 14.5미리 기관총 4개로 무장된 고속정임에는 틀림이 없으며 심지어 시속 90Km로 갈 수있다고 하니 공격,주루,수비가 그럭저럭 갖추어진 고속정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덧글
아무리 구식 대공미사일이라도 록온 당해서 미사일 경고등 켜지면 닥치고 체프 & 플레어 살포와 동시에 연료탱크 및 대지무장 버리면서 G 한계점까지 브레이크! 브레이크! 해야하니까 상당히 합리적인 선택이죠.
와일드링스라든가 국산헬기라든가...
어벤저도 뒤에 저런 스팅어 다연장 플렛폼+12.7밀리 기관총을 장착한 모듈을 험비 짐칸에 올린 모양이죠.
그나저나 북한 해군도 기를 쓰고 장비 근대화를 꾀하고 있군요.
(보통 채프 발사기는 장갑차량에 달리는 연막탄 발사기와 같은 모양이죠. 실제로도 함선에서는 연막탄과 채프를 혼용해서 사용하기도 하고.
연평해전때도 근접전으로 포탄에 피탄된 북한함선이 연막을 피우고 도주하듯이, 아직까지 해상에서 쓸모가 있는 연막탄이라.)
이번 선박은 북한이 연안에서 운영할 수 있는 공수 균형을 갖춘 위협적인 무기로 밝혀졌네요.
북한이 선제공격에 나선다면 1함대와 2함대 지역의 우리 군함들에게 정말 위협이겠습니다.
대공/대함/ 연사능력도 준수하니;;뭐 화기관제수준이 문제겠지만.. 확실히 대전차포올리던 그때랑 질적으로 많이 달라진모습입니다.
대규모 대수상침투세력을 막을 헬기세력에 탑재될....70mm 로직 / 검독수리 b형 130mm 유도미사일/검독수리 a 해성으로 1선제압일텐데...
문제는 저강도분쟁으로 미사일을 날리경우네요;;; 우란미사일과 맨패드를 함선에 공격할수도있으니;;;
윤영하급의 화기관제능력을 믿을수밖에 없는것인가;;싶기도하고;;
윤영하급에도 신궁토대 대공미사일 달 계획은 있는 듯 합니다.
링스같은경우는 아덴만 파견때 겨우 채프달정도인걸로 아는데..기본적인 적외선교란장치는 없는걸로 알고있습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