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신형 고속정은 여러가지 새로운 부분을 우리들에게 보여주었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추진방식이 궁금하였는데 올라온 사진중에 SBS방송에서 방송된 사진에서 추진방식이 보이더군요. 북한 신형 고속정 함미를 보면 우리 윤영하급에도 장착하고 있는 워터제트 추진방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보시면 워터제트 추진기는 2개임을 알 수 있습니다.

▼ 이번에 공개한 신형 고속정은 윤영하급보다 크기가 조금 작은편이지만 성능(대함미사일)이나 워터제트 추진방식이 같습니다. 이를 토대로 본다면 북한에서 윤영하급을 보고 윤영하급에 성능을 맞춘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거기에 좀 더 적극적인 스텔스 효과를 노린 함정을 설계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틀릴 수 있으니 틀린 부분이 있으면 지적해주세요.

▼ 지난 2013년 11월에 공개된 북한 고속정의 함미를 보면 워터제트 추진방식이 아니고 프로펠라 추진방식입니다. 자세히 보시면 방향타가 보이는데 이를 기준으로 프로펠라 추진방식으로 보는 것입니다.

▼ 윤영하급 고속정은 워터제트 추진기가 3개인데 신형고속정은 2개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보았을때 과연 시속 90Km를 낼 수 있을까요? 현재 윤영하급이 40노트가 최고 속력인데 과연 이번에 공개한 신형 고속정이 49노트(90.7km) 이상의 속력을 낼지 의문이 듭니다. 속력을 내려면 워터제트 추진기의 마력이 클 경우나 워터제트 추진기의 갯수가 많아야 될 것으로 보여지는데 신형 고속정은 워터제트 추진기가 2개인데 과연 49노트를 낼 수 있을까 의문이 듭니다.

▼ 중국의 type 022 고속정은 만재배수량 220톤급 선체에 고출력 디젤 엔진 2기(기당 6,865 마력)가 워터젯 노즐에 1:1로 직결된 형태로 최대 36knot의 속도를 냅니다. 윤영하급은 개스터빈x2+디젤x2+워터젯 구성으로 40노트의 속도를 내는데 디젤엔진으로 북한의 신형 고속정이 과연 49노트 이상의 속력을 낼까요?

동북아에 있는 고속정들에게 워터제트 추진방식을 많이 사용할 것 같으며 대한민국,북한,일본,중국,대만에서 현재 고속정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덧글
같은 그물이라도 항상 그 자리에 있는 정치망은 위치를 미리 파악해서 전자해도 같은거에 저장해두면 되는데
대충 가다가 아무데나 깔아버리는 자망같은건 견시를 정말 잘하지않으면 스크류에 감겨서 오도가도 못하게 됩니다.
어종에 따라 그물 강도를 위해 강철 와이어가 들어가기도 해서
그딴게 스크류에 감기면 다이버가 나이프 들어 들어가봤자 답이 안나오거든요.
선망처럼 양쪽에서 어선 한척씩 잡고 당기는건 급하다고 그 사이로 지나가다가 줄에 걸려서 충돌사고도 나죠.
사실 고속으로 땡겨서 차고 나가버리면 자망그물 와이어따윈 스크류로 씹어먹고 가겠지만, 어민들 민원도 있고 종일 고속으로만 다닐수도 없으니...
워터제트는 구조가 복잡한 만큼 고장가능성도 많아서
수리할 돈도 없을 북한이 신뢰성을 생각한다면 단순무식튼튼한 스크류로 했을텐데
굳이 손 많이 가는 워터제트를 단건 그물 대책이 가장 큰 이유 아닐까 합니다.
동해안 침투하는 잠수함 잡은것도 불법 삼중망(...)그물이라죠?ㅋ
그러면서 유고급잠수함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는데요. 그 이후 북한은 경계병보다 그물을 더 무서워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네요.
일단 빠른 속도로 내려와서 공격을 해야한다면 아무래도 워터제트가 좋겠죠.
아무튼 북한군은 이제 육군은 비용 대비 효용이 낮다고 느껴서인지 해공군에 집중하는군요.
쌍동선체에 워터젯 하나씩 붙였나보네요. 배수량은 그럼 참수리급과 비슷하거나 약간 클까요?
결국 국제사회가 실질적으로 북한에 타격을 줄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의미죠.
(워해머 40000을 보면 베인블레이드가 내연기관 엔진으로 움직이는 해괴한 사태도 있어서 패러디 해봄.)
워터제트로 49노트라..... 민간 모터보트나 가능할법한 속도인데...
(되려먼 저 무장들이 전부 나무판으로 만든 더미라면 모를까.)
유튜브에서 어떤 해상보안청 기지공개 행사영상을 보니 CODAD 추진처럼 보이는 보안청 선박에다 워터제트를 달았던데 최고속도때 선미가 연기로 시꺼멓게...
참수리 배기구는 http://pds21.egloos.com/pds/201104/03/07/a0105007_4d97ca9259fde.jpg
윤영함 배기구는 http://pds12.egloos.com/pds/200901/14/07/a0105007_496d3a0a3e87c.jpg
한상국함 이후 윤영하급 배기구 http://pds17.egloos.com/pds/200909/30/07/a0105007_4ac2f1f5c03a7.jpg
고속정의 배기구는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최고속도를 낼때도 매연이 있지만 시동을 켜고 움직일때도 매연이 심하더군요. 그 이후는 매연이 발생하지 않습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