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서 만난 경남 '진주성' 이라는 경남일보의 기사입니다. 드론을 이용하여 진주읍성을 찍었는데 진주읍성의 장점을 한눈에 잘 보여줍니다.
그 기사 내용중 "공북문은 진주성의 정문으로 임금이 계신 북쪽을 공경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라는 말은 기자가 어떤 의도로 하였는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현재 진주성의 정문이라고 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예전 진주성(진주성이라고 읽고 경상우병영성으로 생각한다)의 정문은 신북문인 지세문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조선시대는 왕권시대로 모든 것이 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사회입니다. 지방에서 왕권을 상징하는 것은 바로 객사입니다.그 객사를 중심으로 길이 나는 것이 보통인데 진주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조선시대 진주의 정문은 지세문으로 봐야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보통 남문이 정문인데 진주읍성의 경우 남문은 남강과 바로 연결이 되어져 있어서 정문으로 사용하기에는 조금 부족하였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남문이 정문이 아닌 경우 동,서,북문이 정문의 역활을 한 지역도 많이 있으니 진주읍성의 정문이 북문인 지세문이 되어도 이상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렇게 된 것은 진주만의 독특한 부분이 있다고 봐야할 것입니다. 즉 임진왜란 이후 창원에 있던 경상우병영이 진주로 넘어오게 됩니다. 진주목사보다 계급이 높은 경상우병사는 진주읍성에 진주목사는 외각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뭐 동헌의 경우 임진왜란 이전에도 진주읍성 외각에 있었지만 말이죠.) 그러니 진주읍성에서 진주객사와 동헌으로 이어지는 부분이 많은 사람들이 왕래하는 곳이 되었습니다. 이부분은 일제강점기때 찍었던 사진을 보면 잘 알 수 있습니다. 경상우병사가 머문곳은 운주헌이었으며 전투시에는 진남루에서 지휘를 하는 곳입니다.
진주박물관에 있는 진주읍성 모형도를 보아도 그렇게 형성이 되어져 있습니다. 지세문과 객사까지는 길게 이어진 큰 길이 보이는 것에 비해 공북문은 진주읍성 내성의 출입문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조선시대때에는 빛을 보지 못하였다가 이제사 빛을 본다고 봐야되지 않을까요? 따라서 "공북문은 현재 진주성의 주출입문으로 임금이 계신 북쪽을 공경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고치는 것이 맞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