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포진성(당포성지)동문지_02 진성(鎭城)

서문지를 뒤로하고 동문지로 올라갑니다.
▼ 당포진성을 그려 놓은 것 같네요. 저건 복원되어 있는 것입니다.
▼  당포진성에서 발견한 첫 번째 우물입니다. 요즘은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것 같습니다.
▼  조금 더 올라가서 본 두 번째 우물입니다. 두레박과 양동이는 벽화로 그려 놓은 것입니다.
▼ 소주병만 잔뜩 모아 놓은 것 같습니다.
▼ 담장에 수군들이 숨바꼭질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쉿! 조용히 하세요.
▼  조금 더 올라가자 이순신 장군이 명량해전에서 이야기한 "필사즉생필생즉사"가 벽화로 살아납니다. 이 내용과 관계없지만 아산시청에서는 이순신체를 무료로 다운로드하게 한다고 하네요. 
▼  이순신장군의 동상, 거북선의 모습이 눈에 들어오네요.
▼ 광화문에 있는 이순신장군보다 더 위엄있게 그려 놓은 것 같습니다.
 현재 있는 곳이 동헌이나 포수청과 같은 관공서가 있었던 곳은 아닐까 추정해봅니다.
 조금 더 올라가자 이정표가 나오는데 삼덕삼거리와 당포성지가 나오는데 이 이정표가 헷갈리게 만듭니다. 당포성지의 경우 현재 복원한 당포진성의 체성을 가르키는 것입니다. 삼덕삼거리라고 적혀져 있는 곳으로 올라가야 동문지가 나옵니다. 삼덕삼거리라고 적어 놓을 것이 아니고 동문지라고 적어 놓아야 하는데 저런 식으로 적어 놓았네요.
▼ 올라왔던 길을 되돌아 봅니다.
▼ 조선수군의 활약상을 벽화로 그려 놓았습니다.
▼ 옥포해전,당포해전,당항포해전 등지에서 조선수군이 승리하여 제해권을 확보하였다고 하는 이야기를 적어 놓았습니다.
▼ 이순신장군과 거북선 그리고 필사즉생필생즉사이 그려진 가정집의 모습입니다. 경사도를 알 수 있죠.
▼ 중간 중간에 있는 이곳이 동헌이나 관공서였을 것인데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네요. 문화재연구원등에서 조사하면 알 수 있을까요?
 이제 가장 급경사인 길을 걸어서 올라가야 합니다.
▼ 이제 거의 다 올라온 느낌을 줍니다.
 여기에도 당포성지와 삼덕삼거리를 가르키는 이정표가 있습니다. 15미터만 걸어가면 동문지가 나오는데도 이렇게 표시되어져 있습니다.
▼ 산꼭대기에 자리하고 있는 삼덕사
▼ 삼덕사가 동헌 자리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일단 동헌이 들어설 수 있는 공간은 나옵니다.
 삼덕사 맞은편의 가정집은 빈집으로 남아있습니다.
▼  이곳이 통영시임을 알 수 있는 하수구 뚜겅
▼ 여기까지 올라오면 숨이 막찹니다. 높이와 거리는 얼마되지 않지만 경사도가 심해서 숨이차더군요. 바로 보이는 곳이 동문지입니다.
 동문지였음을 짐작할 수 있는 여러가지가 나옵니다.
 보시는바와 같이 커다란 돌이 보입니다. 
▼ 보시면 돌은은 90도에 가까운 직선이 아니고 70도 정도 되어 보이게 기울어져 있습니다. 처음부터 기울어져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근대에 기울이게 하였는지는 확인할 방법이 없습니다. 문제는 이런식의 기울기는 처음 봅니다. 진짜로 기울어진 것이 맞는지 아닌지는 모르겠습니다. 다만 이렇게 경사가 기울어져 있다고 하여 조선의 수군진이 아니었던 것은 아닙니다. 임진왜란 이후 축성의 방법에도 조금의 변화가 나타났는데 그중 하나가 경사를 기울이게 한 축성방법이 있었습니다. 전부다 그렇게 한 것은 아니고 일부에서 그렇게 하였습니다. 
▼ 부산진성의 서문으로 보시는바와 같이 체성이 기울어져 있습니다. 다만 위에서 본 축성방식이 당시에 축성한 것인지 아니면 임진왜란 이후 축성한 것인지는 확인할 방법이 없네요.
 동문지에서 바라 본 모습으로 사진과 같이 또 다른 마을이 형성되어져 있습니다. 1편에서도 이야기하였지만 조선시대 당시 당포진성의 서문은 바다로 나아가는 출입문이었습니다. 하지만 통제영이나 삼천진으로 가기 위해서는 이곳 동문으로 나아가야 했습니다. 전투를 하기 위해서는 서문으로 출입을하고 동문으로는 백성들이나 아전, 수군들이 지나갔던 곳으로 이 동문이 주 출입문이었을 것입니다. 이런식으로 되는 부분은 위 사진에서 나온 부산진성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부산진성의 경우도 남문으로 나가서 선박에 올라가는식이고 주출입문은 서문으로 한 것처럼 당포진성도 동문이 주 출입문이지 않았을까 추정해봅니다.
▼ 성벽이 기울어진 곳의 반대편에는 동문지의 옹성이 보입니다.
▼ 옹성은 다 이어지지 않고 중간에 끊어져 있습니다.
 옹성 채성안에는 잔돌로 채워져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옹성 안의 모습을 보려고 찍었던 사진입니다.
▼  옹성이 있었던 체성의 맞은편의 모습입니다.
▼  옹성이 끝나고 체성이 있어야 하는데 보이지 않고 잔돌만 잔뜩 보이더군요.
▼ 옹성 뒤에 남아있는 체성은 중간크기의 돌들이 이어져 있습니다. 하단부가 보이지 않아서 아쉽습니다. 
▼ 길이 없어서 동측체성과 북측체성은 확인할 방법이 없더군요. 겨울철이 되면 확인할 방법이 있을까요?
▼ 동문지까지 차가 올라오긴 하지만 차를 돌려서 나가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제 다시 복원한 당포성지로 향해갑니다.
다음편에는 최근에 복원한 당포진성(당포성지) 남측체성을 보도록하겠습니다.



핑백

  • 팬저의 국방여행 : 무패 전승의 비밀, 성웅 이순신 다큐멘터리 조금 아쉽다 2016-05-19 18:58:13 #

    ... CG에서도 당포라고 그려져 있으며 당포 앞 바다까지 일본군을 끌어들였다는 나레이션이 맞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혹!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일까요? 당포진성 1편, 2편, 3편, 4편▼ 동영상에 나오는 당포는 아래에 원으로 표시하여 놓았습니다.▼ 큰 오류는 아닙니다만 왜군과 조선군의 대치장면을 표시하는 부분인 ... more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