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곡포보의 서측 체성은 어디? 진성(鎭城)

2018년 남해에 있는 곡포보에 관하여 발제글을 올렸습니다.


여기서 저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 발행한 <경상좌수영>편에 나오는 곡포보의 서측체성이 이상하다고 이야기하였습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는 곡포보의 서측체성이 예전 성남초등학교 담장을 체성으로 보고 작성하였습니다. 하지만 저는 현장을 가보니 그곳은 학교가 만들어지고 이후 만들어진 체성이고 실제로는 학교 담장 앞에 있는 부분이 체성이라고 이야기하였습니다.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 추정한 곡포보의 체성과 성문의 위치 이 부분을 잘 기억해 놓아야 할 것입니다.
▼ 이에 대해 저는 아니다면서 빨강색부분이 원래 곡포보의 체성이라고 하였습니다. 핑크색 A 부분이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 추정하는 체성이며 저는 B와 C부분을 이야기하였습니다.
▼ 1945년 항공지도에서 찾은 성남초등학교 교정의 모습 
그러던중 2020년 9월 초에 남해군 이동면 화계리의 지적도를 찾았습니다. 
▼ 1916년 발행한 지적도로 이 지적도를 보면 당시에도 곡포보의 체성은 얼마남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보시면 남측체성 일부와 동측체성일부가 남겨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현재도 마찬가지입니다. 남문은 보이지만 다른 성문은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빨강색은 당시에 남아있는 체성을 표시한 것이고 노랑색은 임의로 제가 추정하여 그려 놓은 것입니다. 그려 놓은 근거는 기존 남아있는 체성에 직선으로 연결한 것입니다. 지적도에 523번과 524번을 보아야 하는데 이 부분이 서측체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현재 다음지도에서 본 구.성남초등학교 부근의 지적도입니다.
▼ 조금 확대를 해본 모습으로 523번지와 524번지가 나오는데 이 부분은 100년이 넘어도 똑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 이야기하는 체성은 524번지 우측에 있는 부분이고 저는 524번지 좌측을 이야기하였습니다.
▼ 그림으로 설명하면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1번을 체성을 보았고 저는 2번을 체성으로 보았죠.
▼ 1916년 나온 지적도를 더 확대한 것입니다. 국립해향문화재연구소에서 이야기하였다고 하는 서측체성은 303번지 좌측이 됩니다. 이렇다 보니 서측체성과 함께 서문을 추정하였는데 이 부분도 근거가 없으며 오류도 보여지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곡포보의 서측체성은 현장에서 본 체성의 돌과 1916년 발행한 지적도와 현재의 지적도, 그리고 1945년 발행한 항공사진을 비교한 부분을 보면 제가 주장한 체성이 맞다는 것이 제 결론입니다. 

또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는 아래 사진에 나오는 B지점을 서문지로 추정을 하고 있습니다. 보다 정확한 것은 발굴조사를 통해야만이 정확하게 알 수가 있겠지만 사진상에는 B지점보다는 A지점이 유력하게 보입니다. 문제는 1916년 지적도 조사를 할때 성문이 있었다면 표시를 하였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A지점의 경우 후대에 길을 만들어 놓았을 수도 있겠습니다. 다만 B지점이라고 이야기하는 부분은 남문과 너무 가까워서 성문이 들어설 위치가 아니라는 것이며 차라리 A지점이 맞을 것 같은데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1916년 지적도에 나오지 않았는데 있을리가 있을까? 하는 것입니다. 다시 한번 이야기하지만 보다 정확한 것은 발굴조사를 통해야 정확할 것 같습니다. 



덧글

  • 백두 잊혀진 역사여행 2020/09/03 12:42 #

    그래도 곡포보성의 경우는 대체로 상태가 양호하군요.
  • 팬저 2020/09/03 23:13 #

    남아있는 동측체성 일부는 나름 잘 남아있는 편입니다.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