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증동국여지승람에 합포는 있을까? 합포해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과연 합포해전지라고 주장하는 학개(합포)가 있을까요?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조선 성종 당시 쓰여졌던 지리서입니다. 성종이 노사신, 양성지, 강희맹, 서거정 등에게 세조 때의 팔도지리지를 바탕으로 지리지를 편찬하게 하였으며 55권 55책이 되었습니다. 그중 경상도편은 21권 ~ 32권에 있으며 그중 32권에 김해도호부. 창원도호부, 함안군, 거제현, 고성현, 칠원현, 진해현, 웅천현이 적혀져 있습니다. 즉 경상도편 가장 맨 끝에 웅천현에 관하여 적혀져 있습니다.

아래에 나오는 이미지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가져왔으며 저작권자도 모두 국립중앙박물관임을 알려드립니다.
▼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연혁, 관원·군명·성씨·풍속·형승·산천·토산성곽·관방(關防)·봉수·누정·학교·역원·교량위치·불우·사묘·능묘·고적·명환(名宦)·인물·시인의 제영(題詠) 등의 순서로 기재되어 있습니다.
▼ 군명칭은 웅형, 웅구, 웅신, 웅산 등이 있습니다.
▼ 당시 포구에 관하여도 적혀져 있습니다. 부곡포, 웅포, 덕산포, 양곡포, 제포, 주포 총 6개가 적혀져 있습니다.
▼ 고적편에 합포가 등장합니다. 현읍치에서 서쪽 30리에 완포가 있다. 완포가 합포현(고려시대 합포현 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는 합포현)의 속현이었다가 고려때 현으로 된 부분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떄 나오는 합포가 유일하게 등장하는데 바로 마산합포구에 있는 합포를 이야기하고 있지만 합포해전지라고 이야기하는 합포(학개)는 보이지가 않습니다. [완포폐현(莞浦廢縣) 재현서삼십리(在縣西三十里) 본합포현지완포향(本合浦縣之莞浦鄕) 고려승위현속금주(高麗陞爲縣屬金州) 본조문종시래속(本朝文宗時來屬),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중종(中宗) 25년(1530년)에 나온 것으로 승종12년(1481년)때 나온 《동국여지승람》의 증보판이 바로 신증동국여지승람입니다. 즉 1592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는데 임진왜란 62년전에 나온 지리지가 바로 <신증동국여지승람>입니다. 그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나온 포구에는 합포는 보이지가 않습니다.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