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하함의 내부를 제외한 외부에 관해서 찍었던 사진들을 공개합니다. 함수에 대한민국해군 윤영하함이라는 현판이 선명하게 보입니다. 그리고 보니 KD2나 KD1에서는 이런 방식을 보지 못했던 것 같은데...
▼ 윤영하함이 스텔스효과를 노린 적극적인 함이라는 것이 알 수 있는 사진으로 76미리 함포 밑에 있는 것도 전부 팔각형으로 제작이 되어 있으며 닻을 올리는 권양기도 팔각형으로 되어 있어 레이더 탐지를 줄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윤영하함의 마스트에는 간략형 소나타 ESM시스템과 3D탐색레이더, 2D레이더가 있고 마스트 앞에는 목표조사기가 있습니다.
▼ 국방과학연구소와 LIG넥스원에서 만든 3D레이더로 X밴드주파수대와 30km의 탐지합니다. 거리 및 방위각뿐만 아니라 높이까지 표시되고 100개정도의 표적을 동시탐지가 가능하며 위성과도 연계되어 자동으로 적에 대한 정보와 위협을 분석해 무장체계에 연결해 준다고 합니다.
▼ 많은 분들이 윤영하함의 주포의 외형에 관해서 아쉬움을 표현하는데요. 저는 지금 장착한 윤영하함의 76미리 함포는 한국해군에서 선택한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스텔스효과를 노린 함포는 위아와 오토브레다사와의 분쟁때문에 달기도 힘들었고 기존에 사용하던 함포를 재활용하는 것이 적은 경비를 지출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2번함부터는 스텔스효과가 가미된 함포를 단다고 하니 아쉬움을 접어서면 합니다.
▼ CEROS200은 스웨덴에서 만든 목표조사기로 76미리 함포통제 레이더로 CEROS200의 간략형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CEROS200은 주간 카메라, 열 영상 카메라, Nd-Yag레이저 거리측정기로 구성되어지는데 윤영하함에는 주간카메라만 달려있습니다. CEROS200은 3차원 대공 레이더, 2차원 항법 레이더에 포착된 대수상, 공중 목표를 중,공격을 명령받은 목표를 추적해 거리 밎 좌표데이터를 제공하는 목표추적레이더 입니다. CEROS200은 카메라, 레이저 거리측정기의 보조 시스템이 있으므로, 레이더를 사용하지 않고도 적을 공격할수도 있으며, 특히 레이더 반사파와 클러스터를 발생하는 연안지역에 사용되도록 고안되었습니다. 한국해군은 따로 EOTS장치를 장착을 하였기때문에 윤영하함에는 CEROS200의 간이형을 만든것 입니다.
▼ 윤영하함의 현문으로 크기와 톤수가 작아서 그런지 현문도 광개토급이나 이순신급에 비해 작았습니다.
▼ 위성안테나와 40미리 노봉 함포와 엔진실의 배연기부분
▼ 환기구와 구명정이 보입니다. 구명정의 경우 양현에 달여있는데 갯수는 체크하지 못했네요.
▼ 함미부분으로 엔진실을 내려가는 통로를 열어놓아서 그런지는 몰라도 상당히 좁은 느낌을 줍니다.
▼ 배연기부분을 이런 철망으로 가려놓았는데 이는 열을 식히기 위한 방법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목표조사기가 고장이 날 경우 수동으로 조작하는 목표조사기
▼ EOTS장치로 주간용 카메라,열영상카메라,거리측정을 위한 레지저거리측정/추적기가 달려있습니다. 15km까지 목표를 탐지할 수 있으나 보통 4~5km정도 되어야 식별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EOTS시스템은 레이저거리측정/추적기를 이용하여 거리와 좌표, 이동 등을 76미리 함포와 40미리 함포에 전달되어 사격을 돕는 역활을 합니다.
▼ EOTS장치 옆에 있는 소나타 전파위치 탐색장치시스템
▼ 현문을 통과하자 마스트를 바라본 모습으로 외부 장착된 물품들을 알 수 있습니다.
▼ 함수에서 바라본 윤영하함
▼ 76미리 함포의 탄피는 아래 보이는 탄피받이(?)로 쏟아집니다.
▼ 구명조끼를 보관하고 있는 곳입니다.
▼ 목표조사기 등이 고장이 날 경우 수동으로 조작하는 조사기입니다. 76미리 함포와 40미리 함포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 탐조등으로 양현에 하나씩 함교위 중앙에 하나 총3개가 있었습니다.
▼ 마스트 뒤에 있는 폐쇄카메라로 함교에서 모니터로 자세히 볼 수 있더군요.
▼ 윤영하함 마스트에 부착되어 있는 SK텔레콤의 수신기로 한국해군의 함정에는 이렇게 SK텔레콤 수신기가 장착이 되어있습니다. 함정의경우 레이더와 도료때문인지 수신이 잘되지 않아서 이렇게 설치를 한다고 하더군요.
▼ 오른쪽에 회색으로 둥근것이 있는데 위성통신안테나로 한국해군의 함정에는 왠만하면 다 달려있습니다.
▼ 신호탄 보관함입니다.
▼ 저번에 이야기한 윤영하함의 계단으로 보시는 바와 같이 적극적인 스텔스효과를 노린 것을 알 수 있으며 현재 세종대왕함급에도 이렇게 계단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 전단장이 탄 관계로 스타기가 윤영하함에 장착이 되어있었습니다.
▼ 3D레이더 밑에 있는 것이 2차원 대수상용레이더인 SPS-100K

▼ 함교위에 그려진 태극기
▼ 함교위 상부간판에서 바라본 76미리 함포와 함수
▼ SPS-100K 2차원 레이더의 탐색범위는 대략 90km까지 가능하지만 지구의 둥글고 마스트가 낮기때문에 대략 50km정도 탐지가 된다고 합니다.
▼ RBOOC 디코이 6연발 발사기
▼ 뒤에서 바라본 목표조사기
▼ RBOOC 디코이 6연발 발사기 옆에 둥근 파이프가 보이는데(군데 군데 보이는 녹색노즐) 생화학공격이나 방사능 낙진이 있을 경우 사용하는 함외부 세척장비로 해수를 끌어들여 수용성 제독제를 섞어 분사하여 세척합니다.
▼ 마스트를 보면 회색이 아닌 녹이 쓴것과 같은 색의 마스트가 보이는데 이는 진수식때 사용하던 마스트를 보강한 것으로 보입니다. 진수식때에는 지지대가 하나였는데 이번 취역식때에는 두개로 보강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진수식때의 윤영하함의 마스트 부분과 비교하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가장 위에 있는 것이 소나타 전파수신시스템 그밑에 3D레이더가 보이고
▼ 소나타 전파위치 탐색장치
▼ 노봉은 윤영하함의 CIWS역활과 함께 대수상 함포로서의 역활을 한다. 분당 620발의 발사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마하 2의 속도로 접근하는 표적을 잡을수있는 위력을 가진 CIWS 용의 함포라고 ADD밝히고 있습니다.
▼ 노봉시스템 하부에는 768발의 탄약을 수납하며 10회정도의 대함,대공교전이 가능하고 대수상 유효사거리는 5Km정도이고 대공은 4km정도입니다. 얼마전 개발된 3P탄을 이용하여 근접신관과 파편탄을 사용한다면 대함미사일요격이 가능합니다.
▼ 뒷편에서 바라본 마스트로 뒤쪽에서 본 것이라 EOST가 먼저 보입니다.
▼ 윤영하함은 각이진 형태의 배로 철판을 만져보니 제법 두께가 있는 것 같았습니다. 또한 아래 사진에 보는 것처럼 취약부분은 이중철판을 두르고 있었습니다.
▼ 윤영하함의 현판
▼ 윤영하함의 구명정으로 보관하는 방법이 재미있네요. 나무로 형태에 맞게 고정을 시켜 놓았네요.
▼ 윤영하함의 함교로 직접가서 보니 창문은 2중으로 되어 있었는데 이는 연평해전의 교훈으로 함교부분을 방탄시키기 위한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윤영하함의 함수부분으로 뒤에는 강경급 소해함인 고령함이 운행을 하고 있습니다.
▼ 함수에 부착된 해군기
▼ 윤영하함 승조원들이 윤영하함 취역에 맞춰 거수경례를 하고 있습니다.

▼ 윤영하함이 해군에 인도되는 것이 취역식인데 제가 본 윤영하함의 마스트는 최근에 보수를 한 흔적이 역력했습니다. 아래 사진에 보시면 마스트에 철판을 다시 보강한 것 같은 느낌을 주며 아직 페인트칠도 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K6포방패와 탐조등이 보입니다.
▼ 76미리 오토브레다 함포는 최대사거리가 18.4km이고 수상사격시 8km 대공유효사격은 4km로 알려져 있으며 분당 85발입니다.
▼ 윤영하함의 마스트를 옆에서 본것으로 각종 레이더와 장치들을 알 수 있습니다.
▼ EOST와 함께 있는 태극기 옆에 조그마한 띠가 있는데 저것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네요. 취역할때 사용하는 취역기로 퇴역을 하면 저 취역기가 내려진다고 합니다.
























































말많고 탈 많은 윤영하함이 취역을 하였는데 마스트부분의 도색등 여러가지 손을 봐야 할 곳이 많고 함의 훈련을 해야하기 때문에 해군 5전단에 먼저 배속되어 훈련을 하고 나서 2009년 상반기에 2함대에 배속되어 조국해양수호에 뛰어들 예정입니다. 이는 그동안 문제가 있었던 속력때문인지 아니면 훈련때문인지는 알 수가 없지만 취역을 하자마자 2함대에 배속을 하지 않고 5전단에 배속하는 이유에 대해서 궁금점이 생깁니다. 뉴스에는 해군에 인수후 하자를 정비하는 것으로 결론을 지었다고 하는데.....아무쪼록 충실한 훈련과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여 조국해양수호에 일조를 하였으면 합니다.

덧글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