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72년 지방지에 있는 부산진성의 고지도입니다. 왼쪽 가장 아래쪽에 성곽처럼 둘러싼 곳이 있는데 그곳에 왜관입니다. 왜관을 따라 부산진성 방면으로 올라오면 보이는 진이 있는데 두모진(豆毛鎭)입니다. 두모진을 따라 올라오면 부산진성의 전선을 보관하는 선창이 보입니다. 선창옆에 정공단이 보이고 정공단 옆에 있는 산이 증산이고 그곳에 임진왜란때 일본군들이 세운 부산왜성이 보입니다. 그리고 선창 오른쪽옆에 영가대가 보이고 영가대 옆에 부산진성이 보입니다.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보실 수 있습니다.)
▼ 부산진성안에는 일본인들이 세운 자성대왜성이 보이고 자성대 우측옆에 동헌이 보입니다. 그리고 문은 4대문이며 서문이 주출입문이며 서문앞에 홍살문이 있고 그곳에 시장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남문과 동문은 남측을 향하여 보고 있으며 남문앞에는 바로 바다이고 동문앞에는 가옥들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부산진성의 성곽은 네모형태에서 조금 변형된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자성대안에는 만공단이 있음을 표시하여 놓았습니다. 남측성곽과 동측일부 성곽의 경우 1913년 지적원도와 비슷합니다. 서측성곽의 경우 서문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은 지적원도와 비슷하나 객사에서 북측방향의 성곽은 지적원도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보실 수 있습니다.)
▼ 1913년 지적도와 1872년 지적원도와 비교해본 것입니다. 4대문의 위치가 조금씩 틀리고 성곽의 평면도가 틀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동문의 방향이 조금씩 틀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보실 수 있습니다.)
고지도의 모든 저작권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있습니다.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