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동지도에서 본 곤양읍성입니다. 타원형의 읍성으로 평산성의 구조로 되어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성문은 3개로 동,서,남문이 있고 읍성주위로 곤양천이 흐르고 있어 자연스러운 해자의 기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곤양읍성의 경우 일부 성곽이 남아있는데 현재 노란색으로 되어진 부분입니다. 빨강색으로 되어진 부분이 곤양읍성 성곽 추정도입니다. 다만 위성지도상에 나오는 동헌의 경우는 아닌것 같고요. 현재 곤양면사무소가 있는 곳은 향청이라고 듣었는데 곤양면사무소 옆이라 면사무소는 향청이고 동헌은 옆에 있었는지 알 수가 없네요. 아무래도 지표조사나 발굴조사가 있어야겠죠. 지적원도의 자료는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연구교수인 최원석교수의 "지적원도를 활용한 읍성공간의 역사지리적 복원 - 경상도 읍성을 사례로" 라는 논문에서 곤양읍성의 지적원도를 가져왔으며 지적원도만 있어서 현재의 지형과 알 수가 없어서 제가 다음지도를 가지고 지적원도를 다음지도에 대비하여 만든 것입니다.
▼ 남측성곽에서 본 곤양읍성의 성곽으로 잘 남아있으며 조선초기때 축성한 방식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 저번 곤양읍성을 찾아서를 하면서 남문이 있었던 곳을 추정한 곳이었는데(내리막길 도로부분) 지적원도를 기준으로 보니까 아니네요.
▼ 면사무소 옆에 있는 공용주차장으로 지적원도 기준을 본다면 이곳이 동헌이 있었던 곳으로 봐야 겠네요. 이렇게 되면 남문을 중심으로 좌객사 우동헌인데 객사와 동헌까지의 거리가 제법 됩니다.
"곤양읍성은 해안입지 및 평산입지에 해당한다. 문헌에 의하면, 읍성은 1430년에 石城으로 축조되었고 규모는 둘레 3,765 尺, 높이 12尺이었다. 지적원도에서 볼 수 있듯이 읍성의 평면형태는 동서로 길쭉한 부정형의 직사각형 모양이다. 읍성의 구성요소로서 동 ․ 남 ․ 북의성문 셋이 있었다. 主門인 남문에서 북문을 잇는 남북로를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객사(현 곤양초등학교 자리)와 동헌(迎陽閣 영양각, 현 성내동 193번지 면사무소 자리)이 공간적으로 대응 하여 左客舍 ․ 右東軒의 일반 형태로 배치되었다. 동헌은 읍성의 동편에서 오는 來脈과 접속한 풍수적 입지를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南門으로의 접근성이 좋은 곳이다. 각각의 중심 공간으로 이르는 접근로 역시 동헌은 남문에서 바로 이어진 반면에 객사의 접근로는 남북간 선로에서 동편으로 접속된 ‘┣’ 형태로 나타난다."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연구교수인 최원석교수의 "지적원도를 활용한 읍성공간의 역사지리적 복원 - 경상도 읍성을 사례로 논문중 발췌
▼ 곤양읍성 3편에 이어서 다시 북문으로 와보왔습니다.서측 성곽이 아닌가 생각해서 찍어 놓았는데요. 위 지적원도 기준으로 보니까 대략 맞을 것 같습니다. 다만 북측성곽인지 서문앞 옹성인지는 확인이 되지 않습니다. 제 생각에는 북문앞 옹성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좌측에 보이는 건물이 식당인데 진미가든입니다. 식당건물이 북측성곽이 지나가는 곳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아니면 북문지일수도 있고요. 보이는 도로가 북문지일 수도 있습니다.
▼ 식당앞에서 본 곤양천의 모습으로 S자형태로 흐리는 곤양천은 북측성곽과 함께 흐르고 있습니다. 적의 입장에서 곤양천을 통과하는 것은 힘들어 보이고 설사 통과하였다고 하여도 성벽까지 가기위해서는 상당히 가파른 언덕을 넘어와야 해서 북측을 통한 공격은 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 진미식당 뒤에서 본 북측성곽의 일부로 보이며 식당주변이 북측성곽이 지나갔음을 증명합니다.
▼ 상당한 크기의 성돌이 있으나 주위는 무너져 내린 것인지 아니면 곤양읍성 축성당시 축성한 돌인지는 몰라도 옆의 성돌과는 크기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크기는 길이는 80~90센치 높이는 대략 60센치 정도 되어 보였습니다. 이 정도 성돌로 조성한 곳을 본 것은 함안읍성의 남측성곽에서 보았습니다.
▼ 세월이 많이 흐르고 문화재지정이 되지 않아서 인지는 몰라도 성곽이 많이 무너져 내리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식당 앞 도로 옆에 있는 돌들로 성곽이 지나간 곳이 아닌가 싶어서 사진을 찍어본 것인데 일부는 맞을 것 같지만 섣부르게 단정짓기는 곤란한 것 같습니다.
▼ 북문지 바로 옆에서 본 것으로 공적비 같은 것이 있었습니다. 곤양면에 공적비들이 많이 있었는데 이들을 모아서 지금의 곤양면사무소에 모아 놓았는데 이곳은 가져가지 않았더군요.
▼ 하단부에 거북이가 보이며 공적비를 보호하기위해 기둥이 4개로 지지하고 있었으나 관리가 되지 않아서 인지는 몰라도 공사장에서 사용한 폐건축물과 함께 쓰레기 더미에 있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 공적비 옆을 돌로 축성을 하였던데 성곽의 일부인지는 확인이 불가능 합니다.
▼ 공적비 옆에 골목이 있었는데 하수구가 보여 혹 해자가 아닌가 싶어서 사진을 찍은 것입니다.
▼ 골목을 따라 올라가니 조그마한 텃밭에 옥수수도 심어놓았는데요. 텃밭을 보호하기 위해 돌로 경계를 만들어 놓았는데 성곽에 사용한 돌이 아닐까 싶어서 사진을 찍었습니다.
▼ 보통 주민들이 성곽에 사용한 돌들을 가져와 텃밭으로 꾸미는 경우가 많은데 혹시 그런지는 알 수가 없네요.
▼ 골목을 따라 계속해서 올라가면 대밭고을이 나오고하는데 길이 없어서 내려왔습니다. 그리고 나서 산을 올라가서 성곽의 흔적을 찾아보았으나 숲이 많이 우거지고 오솔길을 따라가다보니 성곽의 흔적은 보이지 않고 해서 다시 곤양면사무소로 왔습니다.
▼ 곤양면사무소에서 북문지가 있었던 곳으로 걸어 갔던 곳으로 북문지 바로 뒤에 곤양교회가 있는데 곤양교회 길건너에서 본 가정집의 담으로 사용중인 돌입니다.
▼ 제법 돌이 크더군요.
▼ 보이는 돌담뒤로 산이 보이는데 높은 산은 아니고 나즈막한 산입니다. 곤양읍성의 북측 성곽이 산으로 연결이 되었는데 지금은 흔적이 남아있지 않다고 하더군요. 물론 일부는 남아있다고는 하는데 저는 발견을 하지 못했습니다.
▼ 곤양읍성의 경우 많은 성곽이 없어져버려 곤양읍성을 알기는 어려운데 길안내판에서 이곳이 읍성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문헌을 보니까 곤양읍성뿐만 아니라 곤양왜성이 있었다고 하던데... 아직 고고학에서는 왜성에 관하여는 이야기가 없습니다. 곤양왜성의 경우는 어디에 있었을까 하는 궁금점이 많이 있습니다.





▼ 곤양읍성 3편에 이어서 다시 북문으로 와보왔습니다.서측 성곽이 아닌가 생각해서 찍어 놓았는데요. 위 지적원도 기준으로 보니까 대략 맞을 것 같습니다. 다만 북측성곽인지 서문앞 옹성인지는 확인이 되지 않습니다. 제 생각에는 북문앞 옹성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덧글